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단백질과 바나나 두 개만큼의 식이섬유가 있다”고 전했어요.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과 김민영 연구원은 참깨박에 간 세포를 보호하는 ‘리그난’이 풍부한 것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리그난은 참깨에 들어있는 물질이에요. 참깨에서 기름을 짜내면 리그난 중 기름에 녹는 성분이 모두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L짜리 페트병 12개만큼의 석탄으로 전기를 만들면, 집이나 학교의 전구로 전달되는 동안 11개의 손실이 발생하지요. 학생들은 안 쓰는 전구를 끄는 간단한 실천이 불필요한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COP28에서는 2023년 한 해 동안 학생, 가정, 학교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 ...
- [카레 비법] 채소탕에 모으고 그릇에 갈라 먹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릇에는 채소가 몇 개 담길까요? 드디어 맛있는 카레를 맛볼 시간이에요. 카레 채소 12개가 담긴 밥을 숟가락으로 듬뿍 뜨니, 채소가 3개 담겼어요. 12에서 3을 빼면 얼마일까요?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어떤 방법이든 가르기를 활용하면 뺄셈은 식은 카레 먹기! 그럼, 남은 카레 채소도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비슷한 형태로 계단 모양을 그리며 커진다는 것을 알아내고, 어떤 수 이하의 소수 개수를 어림잡아 구하는 공식 Li(x)를 만든 것이다. 땅속에 묻힌 소수로 이뤄진 황금계단을 발굴하는 강력한 도구가 됐다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주요국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평가에서 유럽연합(EU)을 포함한 67개국 중 64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나라로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 이란, 사우디아라비아가 자리한 것을 보면 꼴찌나 다름없는 셈이죠. 평가 기준은 온실가스 감축량, 재생에너지 비율, 에너지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잘 먹는 지렁이를 직접 찾아오느라 집에 늦은 적도 있지요. 사마귀를 방생할 때 날개에 작은 표시를 했는데 나중에 같은 장소에서 다시 발견하기도 했어요. Q. 나중에 해보고 싶은 일이나 꿈이 있나요? 일본 남쪽 오키나와 지역에 있는 난세이 제도에 가보고 싶어요. 아열대 생물에 관심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앞으로 사람들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봐요. 사람과 달리 쥐나 개 등 다른 포유동물은 빨간색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을 볼 수 있는 영장류, 그리고 인간은 어떤 이득을 얻었을까요? 이후 문명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에게 빨간색은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영상에서 확인해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제어하고, 로봇에 달린 카메라가 찍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지요. 로봇은 2개의 팔로 환자의 혈압, 심박수를 측정해 조종자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 주사기 같은 의료 장비를 꺼내 부상자에게 적절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지요. 탱크처럼 무한궤도가 달려 있어 무거운 장비를 차체에 싣고 ... ...
- 영재학교 전교생이 열광하는 소수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보이는 활동이지만, 억지스러운 활동은 아니다. 우리 신체 대부분은 첫 번째 소수인 2개인 것이 많으며, 18세는세이고, 학번 107은이듯 1과 소수만을 이용해 모든 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화 프로그램을 거친 뒤에 소수교 정식 부원이 되면 일주일에 한 번씩 모여 각자 소수를 공부한 내용을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가 2, 3, 5, 7,…, p 라는 식으로 유한한 개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유한한 개수의 소수를 모조리 곱한 다음 1을 더한다. 이 값은 소수가 아닌 합성수다. p를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로 가정했기 때문에 p + 1은 소수일 수 없다. 그렇지만 합성수는 소수를 곱해서 만들어지므로 반드시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