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책임연구원은 2월 28일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먼저 동료 평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한국 동료 평가의 문제는 연구자의 수가 너무 적어 평가에 참여할 연구자도 한정적이라는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김공룡 박사를 예로 들면, 연구를 제대로 평가할 고생물학자의 수가 너무 적으니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길막’했을 때 반응 (조회수 3273회)채널명 : 씨즈 (구독자 : 5530 명)지능형로봇법이 개정되며 배달로봇이 보도로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 이동하는 로봇을 방해하면 어떻게 될까요? 씨즈가 사전 허가를 받고 배달로봇을 괴롭혀 봤습니다. 커피 쏟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방해해 보았는데요. 로봇은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레벨100을 향해, 받아올리오 ①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날렵하게 점프, 점프! 둥둥 떠 있는 비타민 조각을 먹은 만큼 레벨이 높아져. 8개와 7개를 연달아 먹었으니...,난 이제 무려 레벨 15인 병아리다! 다음 단계도 가보자고~! ...
- 야구 지표로 보는 2023 영광의 얼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있다. 첫 시즌엔 2할 2리, 2022시즌에는 2할 5푼 2리이었고, 2023시즌에는 타율 2할 6푼, 홈런 17개를 기록했다. 김 선수는 스스로 아직 더 성장해야 한다고 말한다. 지난해 12월 스포츠 유튜브 채널 ‘썸타임즈’에서 20홈런 달성을 목표로 했으나, 9월 이후 체력 관리에 실패해 결과를 얻지 못한 것에 ... ...
- 수학으로 설계된 롤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그렇다면 사거리는 어떻게 구할까? 전략적 팀 전투의 게임판은 정육각형 36개로 이뤄져 있다. 위쪽 정육각형 18개(빨간색)에는 상대방 영웅이 자리하고, 아래쪽 정육각형 18개(파란색)에는 자신의 영웅을 놓을 수 있다. 여기서는 각 캐릭터의 거리를 ‘칸 수’로 측정하자. 사실 많은 ... ...
- [전지적 독자시점] “아, 초음속 비행기 진짜 재밌는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천체에는 특별 기획이란 이름을 새로 붙였지요. 그 결과, 이번 달 기획 기사는 무려 두 개입니다. 두 배로 재밌는 과학동아! 재밌게 즐겨주세요. 1위. 수수께끼 천체 발견, 중력 이론 바꿀까2위. '초음속 비행기'가 (다시) 온다3위. 농사가 문명의 근원? 고고학 근본 가정 ... ...
- [특집] 도파민 중독 시대... 모든 길은 소셜 미디어로 통한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누워서 인스타그램 피드를 확인하고, 밥을 먹으면서 유튜브를 본다. 정신없이 틱톡을 20개쯤 넘기면 어느새 내려야 하는 정류장이 보인다. 새로 업로드된 소식만 확인하겠다고 생각했더라도 ‘하나만 더 보자’는 속삭임이 뇌 속을 울린다. 이렇듯 해야 하는 일이나 공부를 미뤄 둔 채 소셜 미디어에 ... ...
- OUTRO 탈출 도파민 중독! 도파민 디톡스 앱 사용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벗어나려면 ‘나만의 롱폼 미션’에 도전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1분짜리 게임을 10개 하는 것보다 10분 동안 풀어낸 수학 문제에서 오는 기쁨에 가치를 두는 일입니다. 시간과 정성을 들인 즐거움에 가치를 느끼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한 거죠. 윤재영 홍익대 디자인학부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성별을 ‘떡 주무르듯(?) 변화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여기며 ‘성적 가소성’이라는 개념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쥐의 경우, 암컷의 형질을 발현하도록 하는 유전자를 제거할 경우 다 자란 성체의 난소가 정소로 바뀝니다. 반대로 수컷의 형질을 발현하도록 하는 유전자를 제거할 경우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진행 중이다. 우주 속 시계가 될1000개의 펄사 2030년 완성될 SKA는 우리은하 내 약 1만 개 이상의 모든 펄사와, 그중 정확한 시계 역할을 할 수 있는 1000개 이상의 밀리초 펄사를 관측할 수 있다. 이는 어떤 의미일까? 이번에 발견된 구상성단 ‘NGC 1851’에 위치한 의문의 천체(가장 가벼운 블랙홀 또는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