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 증거들이 발견되고 있다.남극점에서 수백마일 내에 있는 한 산중턱에서 16피트(약 4.8m)
두께
의 역청탄(석탄의 일종으로 칠흑빛이며, 유질이 풍부함)을 발견했는데 이 석탄에서 양치류 잎의 자국을 확인했다. 키가 큰 양치류인 이 식물들은 약 2천5백만년 전인 석탄기(고생대 중반 데본기)동안에 ... ...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덮여 버렸다. 유럽의 곳곳에 있는 아름다운 스테인드글라스 유리도 부식되어 해마나
두께
가 얇아지고 표면이 작은 조각으로 쪼개져서 내려앉을 위험에 처해 있다. 웅장한 건축물로 유명한 인도의 타지마할은 인근에 있는 발전소와 정유공장에서 내뿜는 아황산가스 때문에 건축물의 색이 변하고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8fs까지 줄이는데 성공했다. 펨토초라 하는 것은 광이 3분의 1㎛로, 즉 사람의 머리카락
두께
의 1/100에 해당한다.펨토초 레이저 펄스는 고체의 원자나 분자등에서 매우 빠른 현상을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짧은 광 펄스는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했던 아주 빠르게 일어나는 자연현상을 들여다 볼 수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자동차의 부수적인 재료일 뿐이라는 것이다.따라서 재료공학자들의 주요 관심은
두께
를 훨씬 얇게 하면서도 강도는 별로 떨어지지 않는 강판의 개발에 모아져 있다. 중량은 줄이되 강도는 고스란히 유지하는 '독일병정'같은 쇠를 만들겠다는 것이다.가령 0.8mm 전후인 차체의 강판을 0.1mm짜리 고장력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기구의 원리를 이용한 심해잠수선도 설계했다. 이 심해잠수선의 이름은 FNRS2호, 직경 2m,
두께
6mm의 내압구로서 유인상태에서 2천5백m 잠수하는데 성공했다. 이 잠수정은 당시 심해기술의 선두를 다투던 프랑스와 미국에 국가의 명예를 건 잠수기록 경쟁을 유발시켰다.프랑스 해군은 FNRS2호를 구입한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연구소의 시제품은 음향구동기와 공명기로 되어 있다. 구동기는 지름 9인치(23cm),
두께
4인치(10cm)정도의 두툼한 팬 케잌모양이다. 공명기는 구에 관이 붙어 있는 형태이며, 길이는 14인치(35cm)정도다. 이 관에 열전달부가 들어 있다.이 음향 냉동기의 장점은, 오존층 파괴의 주범인 프레온 가스(CFCs)를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탈리아 북부에서 중생대부터 신생대에 걸친 지층을 조사한 월터는 양측 경계에서 1.2cm
두께
의 적색점토층을 발견했다. 루이스가 이 가운데 포함된 이리듐 농도를 측정한 결과, 위아래 지층에 비해 30배 이상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운석에나 많은 이리듐이 왜 그렇게 많이 있을까.이들의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적은 힘으로 복잡한 형상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두께
8mm정도의 알루미늄합금을 약2백50℃로 가열한 아르곤가스로 불면 금속공이 만들어진다. 이때 공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압력은 7kg/㎠에 불과하다. 더군다나 두개의 슈퍼플라스틱 판재를 밀착시키고 가운데에 공기를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영상을 복원해 내는 것이다. 이 2차원 단면은 척추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매우 얇은
두께
의 단면 영상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단층촬영이라고 한다. 이 단면의 위치를 변화시켜 가면서 촬영하면 신체단면 영상을 차곡차곡 얻게 되어 궁극적으로 3차원 정보를 정확하게 얻는 셈이 된다. 이렇게 얻은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보였다 한다. 수평으로 보이는 시기는 약 15년을 주기로 나타나는데 띠는 그 넓이에 비해
두께
가 극히 얇아 마치 띠가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시기를 '띠의 소실'이라 한다. 앞으로 수년간 띠의 변화를 (그림 1)로 나타냈다. 다음번 띠의 소실은 1995년이 된다.토성은 목성에 견줄만큼 많은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