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요녹음 손실로 레코드업계 초긴장 녹아내리는 자기테이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잔류 자기를 이용해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자기 녹음에 사용되는 자기테이프는 보통
두께
가 40μ을 넘지않는 강한 플라스틱 테이프 위에 결정크기가 1μ을 넘지 않는 미세한 강자성체(强磁性体)분말을 도포해 만든다.암펙스사 테이프의 문제는 바로 도포할 때 쓴 폴리우레탄에서 발생했다.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구성하고 있다. 위 구름은 고도 60㎞에, 그리고 아래것은 50㎞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두께
는 약 5㎞다. 이 구름층들은 액체와 고체의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입자들은 90%가 황산(${H}_{2}$${SO}_{4}$)이고 나머지는 수증기다. 비록 금성 상층 구름에 수증기가 있다고는 하나 지구에 비하면 그 양은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原人)으로 1961년 리키가 발견했으며 뇌 용량은 6백~6백50㏄ 정도로 작은 편. 두개골의 뼈의
두께
가 얇고 이의 배열이 포물선형인 것은 인간과 유사하다. ■인류의 최종단계직립원인(Homo erectus erectus) : 1백50만년전에서부터 23만년 전에 걸쳐 살았던 것으로 골의 용량이 최고 1천3백㏄ 정도. 체구는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첨단반도체의 트랜지스터 크기는 0.5~1μ 정도. 사람의 머리카락
두께
가 1백μ 정도인 점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미세한 기술이다. 더구나 이것은 MOSFET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의 가정이고 더 향상된 제조공정이 도입될 경우 0.01μ까지도 가능하다고 반도체공학자들은 주장한다. ... ...
주변기기 활용법/ 디스켓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제거해 주는 라이너(liner), 그 위를 덮는 단단한 플라스틱 케이스 등이 전부다.디스크는
두께
가 75미크론(μ,${10}^{-6}$m)밖에 안되는 폴리에스터 필름 위에 자성체를 얇게 입힌 것으로 구김이나 먼지에 매우 약하므로 조심해서 다루어야 한다. 디스켓의 중앙에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기 헤드가 데이터를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는 재주대장경(再雕大藏經)은 8만6천6백88장의 목판이다. 세로 26.4cm, 가로 72.6cm,
두께
2.8~3.7cm 무게 2.4~3.75kg이 그 제원이다. 그리고 제주도 완도 거제도에서 나는 후박(厚朴)나무가 그 재료다. 전체의 무게가 자그마치 26만kg. 4t 트럭으로 환산하면 65대의 분량이다.물론 고려시대의 운송수단은 배와 ... ...
키보드없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다. 공식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고사는 이번 가을에 실용화 가능한 무게 2.2kg,
두께
2.5cm의 제품을 개발해 놓고 있다. 이 컴퓨터는 8MB의 기억 용량을 갖춘 80286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고화질 비디오화면과 고정되지 않고 자유스러운 펜을 강점으로 내세울 예정이다. ... ...
달걀과 우유로 상아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한 인조상아를 탄생시켰다.사카이의 제조법은 그 제조기간이 짧다는 장점을 갖는다. 3cm
두께
의 인조상아 두개를 만드는데 일주일이 채 걸리지 않는다. 과거에도 합성수지(resin)나 재생 플라스틱을 활용한 인조상아제조법이 있었지만 이 제조과정을 마치려면 자그마치 1년을 소요해야했다. 따라서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불리는 퇴적분지가 분포되어 있어, 이곳에 신생대 제3기와 제4기에 4천m 이상의
두께
를 갖는 퇴적층이 쌓였다. 이곳에서 87년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가스가 발견되어 현재까지 경제성 평가를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제주도 남쪽의 동지나해에는 울릉분지보다 규모가 더 큰 퇴적분지가 발달되어 ... ...
난방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지역과 재료의 성질에 따른 단열재 사용이 의무화돼 있다. 그러나 시공업자들이
두께
는 지키나 질이 떨어지는 제품(밀도가 낮은 제품)을 사용해 완벽한 단열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단열효과는 난방뿐만아니라 냉방에도 적용돼 적절한 단열재를 사용한다면 30% 가까이 냉방비를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