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시 대규모 화산활동이 재개됐다. 오늘날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발달해 있는
두께
가 수십m에 달하는 현무암으로 구성된 용암대지가 바로 이 플라이스토세의 화산활동 결과다.용암대지의 형성을 가져온 플라이스토세의 용암분출은 지금으로부터 40만~50만년 전에 시작돼 그후 수십만년 동안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Plate Tectonics)'이라는 개념설을 이끌어냈다. 이 설에 따르면 지구 외곽은 그림과 같이
두께
가 약 1백㎞되는 큰 조각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를 지판(Plate)이라고 한다. 즉 고생대 말에 있었던 거대한 판게아 대륙이 여러개의 조각, 즉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인디아판 아프리카판 남극대륙판 남아메리카판 ... ...
3 건물배치도 훌륭한 소음대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또는 밖의 소음을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같은
두께
로 할 경우 벽체를 무거운 재질로 만들수록 차음효과가 좋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벽의 틈새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창문들은 방열을 방지하기 위해 2중창으로 돼 있으나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두께
는 습지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워진다. 노출된 수면에서는 이탄층의
두께
가 2.6~4m에 이르며 수목이 무성한 습지에서는 2m 내외가 쌓여 있다. 1970년대 초에 실시한 이탄층에 대한 탄소(C14)연대측정 결과에 따르면 오키펀오키 습지는 최소한 8천년 동안에 걸쳐 형성돼 온 것으로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구조를 나누었다. 얼마나 그 배선구조가 복잡했던가 하면 기판위로 얽혀있는 배선의
두께
만 5㎝가 넘었다고 하니 그 복잡함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후일 루코프는 "그 일이 성공할지 실패할지도 모른채 묵묵히 일해준 배선공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아마도 LARC는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고리는 모든 고리중에서 가장 가늘어서 폭이 약3백20㎞,
두께
가 3,4㎞에 불과하다. 보이저가 찍은 사진에 의하면 이 고리는 몇개의 가는 고리로 나누어지는데, 노끈과 같이 꼬인 모습에 매듭과 같이 불룩한 부분도 있다. 보이저 2호가 근처를 통과하면서 관측한 결과 ... ...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노트북 컴퓨터다!접었을 때 A4용지 크기(대략 30㎝×20㎝)이며 책 2, 3권을 포개놓은 정도의
두께
. 무게는 2~3㎏. 만약 서류가방속에 노트북을 넣는다면 간단한 세면도구와 보충자료를 더 집어 넣어도 충분할 정도의 부피다.배터리를 이용해 야외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고 어디든지 들고다닐 수 있다는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자동차 차체의 강판을 제작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가 성공을 거둔다면 같은
두께
의 강판으로 4배 정도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김영길교수는 이 연구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만약 이렇게만 된다면 수요는 '무한정'이기 때문이다.김영길 교수의 세번째 작품은 텅스텐을 이용한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않는다. 3㎏내외의 무게일뿐만 아니라 옆구리에 끼고 다니더라도 전혀 부담되지 않도록
두께
마저 얇다. 또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기에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2,3시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장소에 제약이없다는 의미는 고정관념이나 사고의 경직성에서 탈피할 수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지진발생원인에 대한 지배적인 이론은 판구조론이다. 판구조론에 따르면 지구가
두께
1백㎞정도의 8~12개의 판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판은 개별적으로 움직인다. 전체 지진의 90% 이상이 이러한 판들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10% 정도는 판 내부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각 판들의 경계면을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