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즉 연속적으로 놓인 지층들(이를 정합관계의 지층이라고 한다) 사이에는 그 지층들의
두께
가 대표하는 시간보다 훨씬 긴 시간의 무퇴적(퇴적이 일어나지 않는) 기간이 함몰돼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정합관계의 지층도 사실은 계속해서 퇴적된 것이 아니고 상당히 오랜 시간의 무퇴적기간이 ... ...
과자속에서 요정이 춤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요철로 각을 새긴다. 이를 냉각시키면 훌륭한 '홀로그램 과자'가 탄생한다. 표면 요철의
두께
는 매우 얇아 손으로 만져도 느껴지지 않을 정도다. 유통과정에서 높은 온도에 과자가 녹지 않는다면 홀로그램 과자는 최종소비자(아이들)에게 요술을 맘껏 보여줄 수 있다.베글라이터의 다음 목표는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생각하면 좋다.그리고 광섬유는 빛이 통과할 때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수 ㎞
두께
의 유리가 선명하게 보일 정도의 고투명재질로 만들어진다.광을 광섬유에 입사시킬 때는 광섬유의 축과 일치하는 입사각이 아주 작은 광파들만 들어가면 가장 이상적인데, 실제는 그렇지 못하고 더 큰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용접이나 볼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그
두께
가 제한을 받게 되며 현재의 기술로 20cm 이상의
두께
는 용접이 힘들다.그러나 다행히도 고강도 경량 건설재료의 연구가 지난 20여년간 활발히 진행되어 강철의 경우 일반강철의 항복(隆伏)강도 2천4백kg/㎠가 1만kg/㎠로 4배 가까이 증가되었으며 콘크리트의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9백90g으로 가벼워졌으며 A4 복사용지 크기인데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재질로 사용해
두께
가 2.65cm에 불과하다. 또 휴대용이란 명칭에 걸맞게 소형건전지 2개로 8시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일정시간 사용치 않을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시스템이 부착된데 따른 것이다.레팔로나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밝은 하이랜드(highland)로 되어 있고 그 곳의 지각도 1백km 이상의
두께
로 앞면의 지각
두께
60km와 대조된다. 이 점은 아직도 달의 형성과 관련된 수수께끼로 남아있다.달의 내부는 과연 녹아 있는가. 물론 달에도 과거에는 화산활동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 활동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됐나 하는 것은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된다.구조는 기둥이 1층 부분에서는
두께
20cm의 강판이지만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쓰면 그
두께
는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하층부는 강관콘크리트로 시공한다.■ 스카이시티-1000지가상승과 주택난 교통난 녹지공간의 상실, 대기나 수질오염 등 도쿄의 여러 도시문제를 일거에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지각은 60km의
두께
로 알루미늄과 칼슘이 풍부한 화성암이 대부분이고, 맨틀층은 8백km의
두께
를 가지며 밀도가 높은 암석으로 구성돼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핵부분은 더욱 불분명하다. 확인조차 불가능하지만 전체 달질량에 비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나뉘며 이는 다시 해양판과 대륙판으로 구분된다. 해양판의
두께
는 60~70㎞이며, 대륙판의
두께
는 1백~1백50㎞다. 암석권 아래에는 연약권(asthenosphere)이 있고, 그 경계는 저속도층의 상한과 일치한다. 저속도층에서는 S파의 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용융상태일 것으로 보이므로 그곳에서는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시 대규모 화산활동이 재개됐다. 오늘날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발달해 있는
두께
가 수십m에 달하는 현무암으로 구성된 용암대지가 바로 이 플라이스토세의 화산활동 결과다.용암대지의 형성을 가져온 플라이스토세의 용암분출은 지금으로부터 40만~50만년 전에 시작돼 그후 수십만년 동안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