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IC 제조용 실리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특히 이것은 머리카락 굵기나 책종이
두께
보다도 작은 것으로서 1㎝ 속에 수백개의 모터가 빽빽이 들어차 일제히 자동차 엔진의 회전력을 능가하는 속도로 회전하는 놀랄 만한 것이었다.얼마 전에는 문장 끝에 찍는 구두점의 5분의 1 크기만한 ... ...
남고비사막의 공룡알 국내 입수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방해석결정으로 기득 차 있다. 알의 크기는 장경이 1백25㎜, 단경이 1백20㎜, 껍질
두께
가 3㎜, 성분은 95%가 탄산칼슘이며 나머지는 탄산마그네슘 인산 칼슘 단백질 수분 등으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이 알은 몽고 남고비사막 사알우스 지방에서 발굴됐는데 모암은 조립질사암(경기 강화 지방의 ... ...
25년만에 모습 드러낸 인왕산의 지형·지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치마폭을 연상케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암괴에서도 기차바위와 동일한 부분에서 2m
두께
의 암편이 사절리를 따라 암석낙하 현상이 일어나 파괴가 진행됐다. 그결과 동서 간의 암괴의 폭은 계속해서 좁아져 가고 있다. 치마바위의 중간 높이에 있는 수평의 판상절리 이외에는 수평절리가 거의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방법은 지평선 근처의 태양을 찍는 것이다.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뚫어야하는 대기의
두께
가 급속히 증가하므로 빛이 차단돼 필터 없이도 태양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평선 근처에서의 시상이 좋지 못하므로 아주 선명한 태양면 사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카메라가 지정하는 노출을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하늘소의 표피는 손상을 제어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종래의 복합재료는 전체를 같은
두께
의 탄소섬유로 강화했으나 자연이 준 하늘소 표피의 복합재는 서로 꼬인 섬유로 된 훨씬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는데 섬유자체가 복합재인 경우가 많다. 또 이 섬유들은 모양이 동그란 것에서 타원형에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및 닛산자동차 회사를 중심으로 전자유동유체(ERF)의 응용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페인트의
두께
와 흐름을 제어하는 ERF, ERF를 응용한 질량 플라이휠 등은 닛산자동차의 특허다.유럽의 두 회사(Feredyn사와 Thompson-CSF SA사)는 트랜스듀서(transducer)용으로 자왜재료를 응용하는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이것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로스앤젤로스 지진침대라고 이름붙여진 특수침대다.이 침대를 구성하는 강관(鋼管)의
두께
는 2/8~3/8인치. 이 강관에 항공기의 소재를 강화시키는 기술이 적용된다. 즉 분말코팅을 한 뒤 4백℃의 열을 가한다. 물론 강관에 코팅된 분말은 어린이가 핥아도 안전하도록 독성이 없는 것이다. 또 이 침대의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조금이라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또하나 반사경의
두께
가 너무 두꺼우면 외부온도와 열적평형을 이루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아무리 잘 연마된 광학면이라도 낮과 밤의 기온차에 따른 팽창 수축이 일어나 반사경의 정밀도를 떨어뜨린다.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9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지평선 근처에 모습을 나타낸다. 게다가 지평선 근처는 별빛이 뚫어야하는 대기의
두께
가 친정부근보다 무려 30배나 되기 때문에 투명도가 6 정도로 완벽에 가깝지 않는 한 발견조차 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지평선 근처의 시상은 절대 좋아질 수 없으므로 아무리 큰 망원경이 있어도 소용이 없다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노즐도 자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레이저절단보다 운전비가 비싸진다. 예로 6㎜
두께
의 강재를 워터제트로 절단하는 경우 비용은 레이저절단보다 약 8배 더 소모된다. 그러나 서로 특성이 다른 두 시스템의 운전비를 수치적으로만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그밖의 여러 활용도 측면에서 충분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