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형제일까그런데 최근 이 구도에 균열이 생겼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런던자연사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약 2억45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의 공룡의 시대 중 초기 1억 년 동안에 살았던 공룡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각류 공룡이 용반류보다는 조반류와 더 가깝다는 새로운 가설을 세워 지난 3월 2 ...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반의 레이더 기술을 연구해 온 미국과 협력하고, 자체적으로 새 조련사를 접촉해서 공동연구를 시도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문전일 DGIST 협동로봇융합연구센터장과 이 센터소속 최병길(맨 왼쪽부터), 남현수,이영춘 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레이더의 감지능력을 시험하고 있다. ‘삐~삐~ 위험 ... ...
- [과학뉴스] 백악기 뜀걸음 포유류 발자국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발견한 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를 중심으로 한국, 미국, 중국으로 이뤄진 국제공동연구팀이 화석을 분석했다.화석이 발견된 지층은 약 1억10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진주층으로, 그간 공룡과 익룡의 발자국 화석, 어류, 곤충, 식물화석 등이 발견된 국내 최대 화석산지다. 연구팀은 이번에 ... ...
- [과학뉴스] 손상된 RNA 없애면 오래 살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등 공동연구팀은 RNA가 노화와 관련이 있으며, 세포에서 손상된 RNA를 분해하는 작용이 수명 연장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RNA는 유전정보가 담긴 DNA의 ‘복사본’으로, 여기에 담겨 있는 유전정보를 토대로 단백질을 만들어 유전자를 발현한다. 지금까지 DNA가 노화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용한다”며 “살란 교수가 든 예시는 오히려 자신의 주장을 약화시킨다”고 말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영국 레스터대 지질학과 사라 가보트 교수는 “살란 교수는 우리의 논문을 주의 깊게 읽지 않은 것 같다”고 비판했다.문제적 동물의 분류가 중요한 이유이들은 왜 이토록 툴리 괴물의 정체를 ... ...
- Part 5. 깨끗한 공기를 지키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한국, 중국, 일본 환경과학원장들이 만나 2019년까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하기로 약속했답니다. #흠…, 지금은 공기 팔 생각을 할 때가 아닌 것 같군. 깨끗한 공기를 살리기 위해 내가 도울 일이 없는지 어서 가 봐야겠소. 어과동 친구들도 공기오염에 더 많은 관심가져 주길 ... ...
- [과학뉴스] 혈당 재고, 약 넣어 주는 ‘당뇨 패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이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미량의 땀으로 혈당 수치를 재고, 위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약물을 주입하는 ‘당뇨 패치’를 개발했다. 이 패치로 혈당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땀의 양은 약 1μL다. 10분 정도 ... ...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봄철이면 우리나라까지 날아오는데요. 가장 큰 원인은 과도한 방목과 산림 훼손입니다. 공동 연구팀은 지역 사람들에게 소득을 담보해줄 수 있는 고구마와, 땅을 비옥하게 만들면서 가축 사료로도 쓰이는 콩과 식물 알팔파, 방풍림으로 쓸 포플러 등을 함께 개발하고 있습니다. 요즘 사드 배치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경보시스템이 발동하는 것을 관찰했다.2013년 브라질, 영국, 스위스 과학자가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남미 야생의 티티원숭이를 관찰해 이들의 소리신호는 한층 더 복잡하고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학술지 ‘영국왕립학회보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했다. 천적인 맹금류와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2로 나타내면,솔리톤이 없는 경우(0)까지 더해 총 4가지 상태로 4진법을 표현할 수 있다. 공동연구팀은 카이럴 솔리톤으로 4진법 소자를 만들면 인공지능 컴퓨터에 한 걸음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김 교수는 “4진법 소자를 만들면 16비트에 담을 수 있는 정보가 2진법의 6만 개에서 4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