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해결해 주는 연구가 있다. 미국 필라델피아아동병원과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등 공동연구팀의 연구로 2002년 1월 1일자 ‘소아과학’에 실렸다.우리 몸은 10억에서 1000억 개의 항원 각각에 맞는 항체를 만들고 이를 기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신생아가 한 번에 반응할 수 있는 ... ...
- [수학뉴스] 인공지능에게 어려운 직업은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수학자의 삶도 넘보지 않을까요?5월 30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미국 예일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인공지능이 대체하기 힘든 직업 1위가 수학자라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2015년 인공지능 관련 국제학회에 참가한 352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물었습니다.인공지능이 베스트셀러 소설을 쓰는 데 ... ...
-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 국제공동연구팀이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와 비슷해 보이는 행성 무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지구에서 39●광년 떨어진 곳에서 항성 ‘트라피스트-1’과 그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7개를 찾은 거예요. 이 행성들은 마치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라마르카와 칸디스 카민스키, 그리고 미국 앨라배마대 의대 다니엘 추 교수가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다양한 포유류의 배변활동을 분석해 학술지 ‘소프트 매터’ 4월 25일자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미국 애틀랜타 동물원에서 포유류 34종의 똥을 모아 분석했습니다. 지름은 직장의 지름과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답은 뻔하다. 선인들의 집단은 서로 힘을 합쳐 무인도를 탈출하거나, 적어도 화목한 공동체를 이룰 것이다. 악인들의 집단은 매일 다투기만 하다가 함께 멸망할 것이다.만약 악인 한 명이 혼자 헤엄쳐서 선인들만 사는 섬으로 건너왔다면 어떨까.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바로 나오지 않는다. 아마도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업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들이 만든 교육네트워크인 ‘51재단’이 이번 캠프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기획했다. 참가 학생들은 51재단이 진행하는 ‘미래청년콘퍼런스’에서 현지 학생들과 함께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들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는 전략을 배우고 실습하게 된다. 애플과 구글,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OGLE-2016-BLG-1195Lb)의 존재를 발견했다. 그런 뒤 NASA의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과 공동 관측해 행성의 질량과 지구로부터의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알아냈다.이번에 발견한 외계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1.43배다. 중심별까지의 거리는 1.16AU(약 1억7000만 km)로 지구 태양 간 거리(1AU, 1억5000만 km)와 비슷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걸렸다. 최초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1995년 미국 국립표준연구소(NIST) 산하 항공물리공동연구소(JILA)의 에릭 코넬과 칼 와이먼이 만들었다. 이들은 2000개 가량의 루비듐 원자로 이뤄진 기체를 레이저냉각(1997년 노벨 물리학상)과 자기증발냉각 기술로 170nK(나노켈빈, 1nK은 10억 분의 1K)까지 ... ...
- [헷갈린 과학] 낙타와 똑 닮은 라마vs알파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운반할 수 있답니다.라마는 수컷 한 마리와 여러 마리의 암컷이 무리를 지어 살아요. 공동으로 사용하는 배설 장소가 있고, 자신들의 영역을 표시하기도 하지요. 포식자가 나타나면 경계하는 소리를 내서 무리를 위협으로부터 보호해요. 미국 서부 지역의 사람들은 라마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 ...
- [과학뉴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 미생물로 깨끗하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국원자력연구원 생명공학연구부 박사와 최용준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미생물을 활용해 방사성 요오드 폐기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방사성 요오드가 잘 들러붙는 금 나노입자를 방사능에 강한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