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걸렸다. 최초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1995년 미국 국립표준연구소(NIST) 산하 항공물리공동연구소(JILA)의 에릭 코넬과 칼 와이먼이 만들었다. 이들은 2000개 가량의 루비듐 원자로 이뤄진 기체를 레이저냉각(1997년 노벨 물리학상)과 자기증발냉각 기술로 170nK(나노켈빈, 1nK은 10억 분의 1K)까지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업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들이 만든 교육네트워크인 ‘51재단’이 이번 캠프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기획했다. 참가 학생들은 51재단이 진행하는 ‘미래청년콘퍼런스’에서 현지 학생들과 함께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들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는 전략을 배우고 실습하게 된다. 애플과 구글, ... ...
- [과학뉴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 미생물로 깨끗하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국원자력연구원 생명공학연구부 박사와 최용준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미생물을 활용해 방사성 요오드 폐기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방사성 요오드가 잘 들러붙는 금 나노입자를 방사능에 강한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늘을 나는 개인용 비행기를 만들겠다는 꿈을 버리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구글의 공동창업자인 래리 페이지가 그 중 한 명이다. 래리 페이지는 스타트업 ‘키티호크’에 1억 달러(약 1125억 원)를 투자했고, 이 회사는 자체 개발한 개인용비행기(아래 사진)를 4월 24일에 선보였다.키티호크가 공개한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 인천에 사는 에일린 달레산드로 씨는 미국 보스턴에서 환경화학을 전공한 과학자다. 작년 5월 졸업하고 한국에 왔지만, 지금은 과학자가 ...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 ESC(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가 공동주최하고 브릭, 동아사이언스, 대덕넷 등이 후원했다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답은 뻔하다. 선인들의 집단은 서로 힘을 합쳐 무인도를 탈출하거나, 적어도 화목한 공동체를 이룰 것이다. 악인들의 집단은 매일 다투기만 하다가 함께 멸망할 것이다.만약 악인 한 명이 혼자 헤엄쳐서 선인들만 사는 섬으로 건너왔다면 어떨까.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바로 나오지 않는다. 아마도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의학과 첼시 로크만 박사와 인도네시아 하사누딘대 해양과학과 아크바르 타히르 박사 공동 연구팀은 각 지역의 시장에서 어패류를 구입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는 11종 76마리를, 미국에서는 13종 76마리를 마련했다. 인도네시아에서 구입한 어패류 중 6종, 21마리의 내장에서 미세플라스틱이 ... ...
- [과학뉴스] 드래곤피쉬가 입을 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독특한 입도 갖고 있답니다.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과 프랑스 소르본대학교 국제공동연구팀은 여러 나라의 박물관과 연구기관에서 드래곤피쉬의 뼈들을 받아 연구했어요. 그리고 다른 심해어들보다 드래곤피쉬가 더 크게 입을 벌릴 수 있는 비결이 두개골과 척추 사이 관절이라는 사실을 ...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나왔다.독일 뮌헨 헬름홀츠연구소와 뮌헨공대,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의대 공동연구팀은 자동차와 비행기를 이용해 그리스 테살로니키 지역의 해발 0m에서 2000m까지 다양한 고도에서 공기 샘플을 수집해 분석했다.그 결과, 꽃가루 24종과 곰팡이 포자 15종을 발견했다. 이 중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없애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최근에는 극지연, 한림대, UNIST, 체코 마사릭대 공동 연구팀이 중금속인 6가 크롬이 녹아있는 폐수가 얼어붙으면서 독성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밝혀 1월과 3월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발표했다(doi:10.1016/j.jhazmat.2017.01.031, doi:10.1016/j.scitotenv.2017.02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