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최근 보건복지부와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국내 바이오업계, 학계, 연구기관들과 공동 연구개발 및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IVI와 질병관리본부는 노로바이러스 백신 및 A형간염 백신 개발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한국, 스웨덴 등 각국 정부와 함께, 1억5000만 달러 이상의 연구기금을 ...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풀지 못했던 생물학 최대의 수수께끼인 ‘협력의 진화’로, 과학출판사 사이언스북스와 공동 개최했다. 과학동아에 ‘협력의 공식’을 연재 중인 진화심리학자 전중환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가 강의를 했고, 시사주간지 ‘시사인’의 천관율 기자가 패널로 함께 했다. 천 기자는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다(오른쪽 그림). 미국 프린스턴대와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 의대 공동연구팀이 영국과 미국, 덴마크의 보건자료를 입수해 분석했다. 그 결과 홍역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홍역 발생(검정 그래프)이 줄어들자, 홍역이 아닌 다른 전염병에 걸려 사망한 소아의 숫자(빨간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람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거대로봇들의 조종석엔 의자와 막대기 모양의 조종기가 있어요. 조종사가 조종기를 쥐고 움직이면 로봇이 똑같이 따라 움직이는데, 마치 전투기를 조종하는 모습을 연상케 하지요. 특히 메소드-2는 손가락 아래에 붙어 있는 버튼을 차례로 눌러 손 ... ...
- [과학뉴스]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런데 특이하게도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규모 9.15)은 지하 10~20km에서 발생했다. 국제공동해양탐사프로그램(IODP) 연구팀이 그 원인을 최초로 밝혀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IODP에 참여한 송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O2지중저장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수마트라 섭입대에서 천부지진을 ... ...
- [과학뉴스] 30만 년 전에 태어난 현생인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압델루아헤드 벤엔서 박사, 미국 뉴욕대 인류학과 새라 베일리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모로코의 제벨 이르후 지역에서 약 3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는 현생인류의 화석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당시 현생인류가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석기도 발견했다.지금까지 과학자들이 찾은 현생인류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담배처럼 심리적 만족감을 준다?지난해 오스트리아 빈의대와 우간다 굴루대 공동연구팀은 우간다 북부 사람들의 토식증을 연구해 ‘우간다 북부의 토식증 : 소비자와 임상의의 관점’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햇볕에 말린 벽돌, 불에 구운 벽돌, 우물 속 토양, 강둑과 습지에서 ... ...
- [Origin]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청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비교해 어떤 기술이 유용한지 평가하기도 하고, 해체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과제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 53개 대학, 500개 이상의 산업체들도 CEA와 협력하고 있습니다.샤또(Chateau)를 가진 연구소CEA 카다라쉬 연구센터에는 볼 것이 너무도 많습니다. 일단 ...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실제로 메소드-2는 일본 후쿠시마현 재난대응본부와 함께 재난 대비용 로봇으로도 공동 개발되고 있답니다. 인터뷰 “ 로봇과 함께하는 멋진 미래를 상상해 보세요!”임현국(한국미래기술 대표)저는 어릴 때 다양한 로봇 만화영화를 보며 자랐어요. 로봇 태권브이와 마징가 Z, 공각기동대를 ... ...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로마 사피엔자대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공동연구팀이 대기의 전리층을 분석해서 쓰나미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전리층은 지구 대기에서 약 80~1000km에 이르는 층을 말하는데, 태양복사와 우주선(Cosmic Ray)에 의해 대기 분자들이 이온화돼 있다. 지진에 의해 쓰나미가 발생하면 이 지역의 상층부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