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면역거부반응 바이러스 비활성시킨 돼지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유전학과 교수와 매사추세츠 주 소재 바이오 기업 이제네시스 바이오 사의 루한 양 박사 공동연구팀은 돼지 섬유 아세포의 유전체를 분석해 내생 레트로바이러스 25종을 확인했다. 내생 레트로바이러스란 과거에 생식 세포의 유전자에 들어가 세대를 거듭해 지금까지 유전되는 바이러스 유래 ... ...
- [과학뉴스] 금붕어가 산소 없이 겨울 나는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노르웨이 오슬로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스티안 엘르프센 인랜드노르웨이응용과학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금붕어를 산소 환경과 무산소 환경에 각각 노출시킨 뒤, 골격근의 단백질을 조사했다. 그 결과, 붕어의 근육에는 척추동물이 가진 보통 단백질뿐만 아니라 또 다른 단백질이 추가로 있다는 ... ...
- [과학뉴스] AI 이용해 덜 녹스는 금속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열렸다. 에릭 호머 미국 브리검영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거스 하르트 물리천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재료를 구성하는 결정의 경계선 특징으로부터 재료의 강도와 무게, 수명 같은 특성을 예측하는 컴퓨터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어떤 원자 구조가 물질을 더 강하게 만들지, 혹은 더 ... ...
- [과학뉴스] 이것이 지구 최초의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교수와 마리아 본 발타자르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식물학및생물다양성연구실 박사 공동연구팀은 현존하는 속씨식물의 63개 목과 372개 과를 선택해 792개 종을 골랐다. 그리고 이미 멸종한 속씨식물 화석 137점과 함께 관찰해 꽃의 생김새에 대한 데이터를 1만3444개 얻었다. 이를 통해 꽃잎과 암술,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있다”며 “과학기술이 발전하려면 후배 과학자를 양성하는 게 중요한데, 교육이나 공동연구 등을 할 때 소통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과학자 언니’ 보며 동기 부여”사실 여성 연구책임자가 적은 건 애초에 이 분야로 여학생이 적게 유입되는 탓이기도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10.3802/jgo.2017.28.e67). 김 교수는 “앞으로 왓슨을 활용 중인 해외 연구기관 전문가들과 공동연구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어떤 요인과 특정 질환 사이의 연관관계를 밝히는 ‘코호트 연구’다. 왓슨이 가진 수많은 환자의 빅데이터(건강 상태, 음주, 흡연 등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월 26일 일본 국립농업식품연구소(NARO, National Agriculture and food Research Organization)와 산토리 공동연구팀은 순수한 푸른색에 가까운 국화를 개발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파란 장미, 파란 카네이션 등 많은 종의 꽃에서 파란색을 구현했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모두 파랑보다는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요.최근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와 위스콘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최초의 동물로 ‘빗해파리’가 더 유력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새로운 유전자 분석법으로 동물의 관계를 다시 확인했지요.연구팀은 모든 생명체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 ...
- [과학뉴스] 쥐라기 하늘에서 ‘좀 날렸던’ 포유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연구원, 데이비드 그로스니클 미국 시카고대 진화생물학위원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최근 중국에서 1억6000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 ‘마이오파타지움 푸르쿨리페룸(Maiopatagium furculiferum )’과 ‘빌레볼로돈 디플로밀로스(Vilevolodon diplomylos )’ 두 종을 발견해 ‘네이처’ 8월 1 ... ...
- [Issue] 내 똥이 ‘약’이 되는 똥 이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토마스 보로디 호주 소화기질환센터 센터장과 알렉산더 코럿 미국 미네소타대 의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건강한 사람의 대변을 정제해 환자의 장에 넣었더니 위막성대장염 증상이 사라졌으며, 완치율이 90%에 이르렀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쳐 리뷰 소화기내과학&간장학’에 실었다(doi:10.1038/nrgastro.20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