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저자는 우리 사회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도 대해서도 고찰한다. 서로 돕는 공동체 문화가 심장병 사망률을 낮췄던 로세토 마을의 사례, 사회적 연결망이 기대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사례 등을 소개한다. 그는 “지금이 아니면 언제?”라고 묻는다. 과거 사회적 약자들의 ...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황성순 연세대 의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RORα’ 핵수용체가 간에서 일어나는 지방 대사 과정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내용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 ...
- [과학뉴스] 제주도 바닷가 신종미생물에서 항생제 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밝혔다. 최그레이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선임연구원과 최혁재 영남대 약학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지난해 3월 제주 김녕 해안지역의 퇴적 지형을 탐사하던 중 신종 해양미생물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을 ‘마빅키박터 루버(Mabikibacterruber )’라고 명명하고, 학술지 ‘계통진화미생물학’ ... ...
- [과학뉴스] 철새의 장거리 비행은 바다 냄새 덕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날아가는 걸까.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스페인 바르셀로나대, 이탈리아 피사대 등 공동연구팀은 새들이 장거리를 비행할 수 있는 비결이 후각에 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페인 메노르카 섬에 살고 있는 여름 철새인 슴새류(Calonectris borealis, ... ...
- [과학뉴스] 물로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천쉥 왕 미국 메릴랜드대 생체 분자공학과 교수와 캉 쑤 미국육군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소금물 용액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등 가전제품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4볼트 전압을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시작한다. 3학년 학생들이 5~6명씩 한 팀을 이뤄 1년 동안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는 학부공동연구프로그램(UGRP·Undergraduate Group Research Program)이 대표적이다. 임진택 씨(22)는 지난해 UGRP에서 딥러닝 알고리듬을 활용해 교통량을 최적화한 도로를 설계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를 마친 뒤, 그는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LG전자와 공동으로 재질에 관계없이 데울 수 있는 인덕션 히팅 기술도 개발 중이다. 원하는 주파수에서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코일에 고전압을 흘리는 기술을 개발해 어떤 재질의 냄비도 안전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그래서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단계로 보아왔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과 오스트리아 국제 공동 연구팀이 오스트리아에 있는 한 하수처리장에서 ‘클로스노이바이러스’라는 이름의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를 발견했어요. 이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157만 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작은 ... ...
- [과학뉴스] 쌀쌀할 때 심장마비 조심 “영하에서 4건 더 발생”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이비드 얼링 스웨덴 룬드대 의대 순환기내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1998년부터 2013년까지 16년 동안 국가 심근경색질환 기록에 등록된 28만873건의 심장발작 사례를 분석했다. 발병 횟수와 해당일의 기온, 일조 시간, 기압, 강수량 등 기상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더 좋다. 이미 프랑스의 로레알과 스위스의 네슬레는 피부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을 공동 개발한 바 있다. 화장품과 약, 식품의 경계는 이미 허물어졌고,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추남의 계절 ‘오빠 피부’를 탐하다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