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쌀쌀할 때 심장마비 조심 “영하에서 4건 더 발생”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이비드 얼링 스웨덴 룬드대 의대 순환기내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1998년부터 2013년까지 16년 동안 국가 심근경색질환 기록에 등록된 28만873건의 심장발작 사례를 분석했다. 발병 횟수와 해당일의 기온, 일조 시간, 기압, 강수량 등 기상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 ...
- [과학뉴스] 물로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천쉥 왕 미국 메릴랜드대 생체 분자공학과 교수와 캉 쑤 미국육군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소금물 용액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등 가전제품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4볼트 전압을 ... ...
- [과학뉴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업경제학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관한 연구를 다룬다. 1981년 창간됐으며, 프랑스 국립농업연구소와 스프링거 출판사가 공동 발행하고 있다. 논문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피인용지수(IF)는 2015년 기준 4.141로, 농업경제학 부분 83개 저널 중 4위다. ‘오픈액세스’ 저널로, 논문이 게재된 지 1년 뒤면 아카이브를 통해 자유롭게 열람할 수 ... ...
- [과학뉴스] 이것이 지구 최초의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교수와 마리아 본 발타자르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식물학및생물다양성연구실 박사 공동연구팀은 현존하는 속씨식물의 63개 목과 372개 과를 선택해 792개 종을 골랐다. 그리고 이미 멸종한 속씨식물 화석 137점과 함께 관찰해 꽃의 생김새에 대한 데이터를 1만3444개 얻었다. 이를 통해 꽃잎과 암술,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 팀장은 “하이퍼루프원이 기술적으로 가장 앞서 있지만, 그들이 제시한 기술은 국내에서도 이미 확보한 상태”라고 말했다. 2010년 실제의 52분의 1 크기로 줄인 열차 모형을 0.2기압에서 ...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개발한 시스템에는 이 기능이 모두 들어 있다. 현재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의료진과 공동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스타트업에도 기술을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요.최근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와 위스콘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최초의 동물로 ‘빗해파리’가 더 유력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새로운 유전자 분석법으로 동물의 관계를 다시 확인했지요.연구팀은 모든 생명체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 ...
- [과학뉴스] 금붕어가 산소 없이 겨울 나는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노르웨이 오슬로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스티안 엘르프센 인랜드노르웨이응용과학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금붕어를 산소 환경과 무산소 환경에 각각 노출시킨 뒤, 골격근의 단백질을 조사했다. 그 결과, 붕어의 근육에는 척추동물이 가진 보통 단백질뿐만 아니라 또 다른 단백질이 추가로 있다는 ... ...
- [과학뉴스] AI 이용해 덜 녹스는 금속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열렸다. 에릭 호머 미국 브리검영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거스 하르트 물리천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재료를 구성하는 결정의 경계선 특징으로부터 재료의 강도와 무게, 수명 같은 특성을 예측하는 컴퓨터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어떤 원자 구조가 물질을 더 강하게 만들지, 혹은 더 ... ...
- [과학뉴스] 쥐라기 하늘에서 ‘좀 날렸던’ 포유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연구원, 데이비드 그로스니클 미국 시카고대 진화생물학위원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최근 중국에서 1억6000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 ‘마이오파타지움 푸르쿨리페룸(Maiopatagium furculiferum )’과 ‘빌레볼로돈 디플로밀로스(Vilevolodon diplomylos )’ 두 종을 발견해 ‘네이처’ 8월 1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