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지난 2010년 영국 셰필드대학교와 워릭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닭이 없으면 달걀이 존재할 수 없다고 밝혔어요. 슈퍼컴퓨터로 분석한 결과, OC-17이 달걀 껍데기의 주재료인 탄산칼슘 성분을 광물 형태로 바꿔 단단한 껍데기를 만든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또 ...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kaolinite)’ 입자가 어는 과정을 3초에 한번씩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영상으로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교수는 “나노 크기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으로 수백만 번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이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름이 생긴다”며 “기후변화에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왔다.현재 마크-2를 개선해서 만들고 있는 마크-3는 이런 약점을 대폭 보완하고 있다. 공동개발자 중 한 명인 공학자 멧 올레인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시속 32km의 속도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게 기동성을 보완했고, 대기압의 272배의 압력을 내는 유압 시스템으로 자동차를 4.6m 높이까지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엄마 몸무게의 20%에 육박하기 때문이다.물론 이런 곤란을 해결한 비책이 있다. 바로 공동육아와 계획임신이다. 이들 원숭이 무리에는 보통 새끼를 낳는 암컷과 새끼를 낳지 않는 암컷, 그리고 2~3마리의 수컷과 새끼들이 있다. 어린 새끼를 제외한 모두가 육아에 참여한다. 쌍둥이에게 젖을 먹이는 ... ...
- [과학뉴스] 셰일가스 품질 높일 질소 흡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이브리드 나노세공 흡착물질’이 개발됐다.한국화학연구원과 연세대, 프랑스 CNRS 등 공동 연구팀은 하이브리드 나노세공 소재를 만들어 가스에서 질소를 효율적으로 흡착해 없애는 데 성공하고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6년 12월 19일자에 발표했다.하이브리드 나노세공 소재는 크롬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송지환 차의과학대 교수팀이 CiRA 내 여러 그룹과 공동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임상에 사용할 수 있는 iPS세포주를 구축하고 신경계질환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한국인과 일본인 간 인간백혈구항원(HLA)의 유사성을 토대로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적은 없다. 그렇다고 아주 불가능한 얘기도 아니다. 미국 시카고주립대와 에모리대 공동연구팀은 2009~2010년 유행했던 신종플루에 걸렸다가 회복한 사람의 혈청에서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발견했다. 다양한 아형의 인플루엔자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가 있었던 것이다. HA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 ... ...
- [가상인터뷰] 해마 유전체 완전 해독!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고 부화도 시키지요. 얼마 전, 중국과학원(CAS)과 독일 콘스탄츠대학교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해마의 유전체를 해독해 수컷 해마에게서 임신 관련 효소 단백질 유전자를 발견했어요. 그 유전자는 특히 육아낭에서 활발히 활동했답니다.또 해마는 냄새를 맡는 수용체보다 빛 자극을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탐사 건축(Space Exploration Architecture)’과 ‘클라우즈 건축사무소(Clouds Architecture Office)’가 공동으로 1등을 수상했으며, 물을 3D 프린팅 재료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들은 상금으로 2만5000달러(약 3000만 원)를 받았다. 1위부터 3위까지 수상작을 공개한다. 그들의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001년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6개국 공동연구팀이 처음으로 인간의 모든 유전자를 자세하게 읽어낸 ‘인간게놈지도’를 발표했다. 이 지도를 통해 전체 게놈의 99%에 해당하는 32억 쌍의 염기서열이 해독됐다.염기서열을 밝히는 것과 분석하는 것은 다르다하지만 염기서열이 밝혀졌다고 우리가 인간의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