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게 사실이야?하드로사우루스 : 그건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밝혀냈어요. 하드로사우루스 화석의 관절에서 관절염을 앓았던 흔적을 발견했거든요. 연구팀은 컴퓨터를 이용해 몸의 단층 사진을 찍을 수 있는 CT기계로 뼈 화석을 자세히 들여다봤어요. 그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전체에 빙하기가 찾아온다는 거지요.작은 소행성도 위험해?2013년 미국과 멕시코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약 1만 4900년 전 지구가 갑자기 추워진 원인이 소행성 충돌이라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당시 이 지역 대기권에 소행성이 충돌하며 폭발한 결과, 엄청난 양의 열이 북아메리카 대륙의 빙하를 ... ...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당시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어요. 올해 5월, 영국지질연구소가 이끄는 국제공동 연구팀이 유카탄 반도 아래의 칙술루브 크레이터를 조사하기 시작했어요. 이 지역은 6500만 년 전에 지름 10km의 소행성이 충돌한 곳으로, 지금은 땅 속 지층 깊숙이 크레이터가 숨겨져 있지요.연구팀은 약 2주간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스텔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미국 듀크대학교와 조지아서던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갑오징어의 은신 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했어요. 연구팀은 수조 안에 있는 갑오징어에게 상어의 그림자가 점점 다가오는 영상을 보여 줬어요. 그전까지 지느러미를 살랑거리며 편안하게 ... ...
- [과학뉴스] 꿀꺽 삼킨 건전지를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해요.이에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과 영국 셰필드대학, 일본 도교공업대학 등의 공동 연구팀이 수술을 하지 않고도 몸속 건전지를 찾아서 밖으로 꺼내 주는 초소형 로봇을 개발했어요.이 로봇은 소시지를 만들 때 쓰는 식용 껍질에 둘러싸여 있어요. 사람이 로봇을 삼키면 위 속에서 껍질은 ... ...
- [과학뉴스] ‘링딩동’ ‘암욜맨’… ‘수능금지곡’의 특징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현상이라고 부른다. 최근 영국 더럼대와 골드스미스대, 런던대 및 독일 튀빙겐대 공동연구팀이 귀벌레 현상이 나타나는 곡의 특징을 알아냈다.연구팀은 300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귀벌레 현상을 자주 일으키는 100곡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 곡들이 음악 차트에 있던 기간과 가장 높았던 순위를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측정 장비를 개발해 탐사 준비에 앞장서고 있다. 정 책임연구원은 “한국과 북한, 중국의 공동연구가 가능해지면 북한에서 중국까지 긴 측선을 이어서 그 하부를 동서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얻지 못한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한편 백두산 하부구조가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눈에 띈다. 지난 9월,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과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공동연구팀은 특정 방향으로의 뒤틀림이 악의 축을 만든다고 가정하고, 이 뒤틀림때문에 특정한 방향성이 나타날 수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우주가 특정한 방향성을 가질 확률은 12만1000분의 1이었다. 즉, ... ...
- [과학뉴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 연구 그룹은 미국국립보건원(NIH)으로부터 총 660만 달러(77억6820만 원)를 지원받는다.공동연구팀은 예시로 마이코플라즈마를 모델링한 사진을 공개했다(사진 ③). 세균에 속하는 마이코플라즈마류에는 소의 전염병인 우폐역, 그리고 폐렴의 원인이 되는 세균들도 있다. 하지만 이들이 공개한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것이 산성비로 내린다.구조E 마그마 방지난 4월 북한 과학자들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지진파를 이용해 백두산 아래에 서울시의 2배가 넘는 면적(1256km2)을 가진 공간이 있고, 그 속에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논란 지진파 상으로 물성이 다른 부분을 모두 마그마 방으로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