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d라이브러리
"
데이터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는 ‘인성’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실험값이 일치해야 한다고 생각해 실험값을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처럼
데이터
를 조작하는 행위는 정직하지 못한 행위로 낮은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영재학교의 합격자는 보통 7월에 발표한다. 그래서 합격한 뒤 남아 있는 중학교 생활에 소홀해지기 쉽다. 대전과학고는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그 사이를 통과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수차례 훈련하면서 얻은
데이터
로 태권브이의 자율주행 기능을 최적화했다. 사람이 조종해서 기문을 통과할 때의 영상과 속도, 가속도 등의 정보를 취합한 뒤 상황에 따라 가장 적절한 동작을 찾았다. 그에 따라 최적의 정보를 태권브이에게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스케이터의 몸에 수십 개의 센서를 부착하고 점프하는 동안
데이터
를 수집했어. 이
데이터
를 수학 모형으로 만든 뒤 컴퓨터를 이용해 스케이터의 몸을 조정해 높이나 속도를 확인했지. 그 결과 5회전 점프는 인간이 할 수 없으며 4회전 점프가 최대라는 결론을 내렸어. 물론 몸에 무리가 많이 가서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기억에 남는 문제 중 하나는 실제로 해커가 특정 회사나 단체를 공격해서 중요한 문서나
데이터
를 습득해 빼내오는 시나리오를 다양한 단계로 구성한 것이었습니다. 목표 시스템의 사양을 조사하고 회사 내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분석해 파일 시스템에 숨겨 놓은 파일을 ...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강아지 다섯 품종을 분류하는 데 최적화된 기계학습 모형을 만들어놓고 일곱 품종을
데이터
로 넣었을 때도 제대로 분류할 수 있을 거라는 헛된 기대를 하지 말라는 것이지요. 다시 일곱 품종을 구분할 수 있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하지요. 어떤 문제든 해결할 수 있는 만능 알고리즘을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that prevents doors from blocking their opening during structural failures in earthquakes and other catastrophes. 빅
데이터
와 사물인터넷 기술도 유용하다. 시스데브(SysDev)라는 이탈리아 기업은 ‘건축구조물의 블랙박스’라고 부르는 무선 센서를 개발했다.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빨랐다. 민 선임연구위원은 “처음에는 피로 회복에 큰 신경을 쓰지 않던 선수들이
데이터
를 보고 난 뒤부터는 매일 훈련을 마치고 차가운 물이 담긴 검은색 고무 대야에 옹기종기 들어가 앉을 정도로 피로 회복에 공을 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안에는 사업계획, 직원관리 같은 기업 운영과 관련된 각종 파일과 함께 이미지 파일 안에
데이터
를 저장하거나 추출(스테가노그래피)하는 프로그램인 ‘Setup-OpenStego-0.6.1.exe’도 있었습니다(그림➌). 이미지 파일 안에 숨은 정보가 있는 거지요. 파일명이 ‘민아’인 PNG 파일을 스테가노그래피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실험실’이라고 불려요. 빙하의 깊이와 높이, 두께, 표면 온도 등 여러 가지
데이터
를 관측하기 위해 어마어마한 장비들을 싣고 다니기 때문이지요. 1초에 1만 번의 진동을 만들어내는 초정밀 레이저를 쏴서 빙하의 높낮이를 계산할 수 있어요. 각종 레이더 장비로 빙하 표면부터 바닥까지 관측할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떴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는 최초로 컴퓨터 타임키핑이 적용돼 선수들의 기록이 모두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됐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결승선에 통과하는 순간 초당 1000장이 찍혔고, 2012년 런던올림픽에는 양자 타이머가 도입돼 100만 분의 1초까지 기록됐다. 그러니 2월 평창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