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음색을 분석해 이를 인공지능에 학습시켰다. 그 결과 인공지능은 단 1초의 음성 데이터만으로도 실험참가자가 어른과 이야기하는지, 유아와 이야기하는지 구별해냈다. 유아와 이야기할 때 어머니의 음색이 특정한 방식으로 바뀌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배경 잡음이나 목소리의 높낮이로는 이런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중인 무인탐사선 ‘돈(Dawn)’의 프레이밍 카메라 연구팀 소속으로 2007년부터 돈이 보내온 데이터를 토대로 세레스 등을 연구하고 있다. 국제천문연맹은 세레스가 로마 신화 속 곡물의 여신인 ‘케레스’에서 따온 만큼 세레스의 지명도 전 세계 농업의 신들 가운데 고르기로 방침을 정했다. 슈뢰더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SNP)을 찾으면 처녀생식이 아니라는 점을 증명할 수 있다”며 “현재 그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확인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단일염기다형성은 염색체 일부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염기서열로, 사람마다 고유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수 단장 역시 “처녀생식이 아니라는 ...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속으로 들어올 수 있다”고 웨어러블 로봇 개발을 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어요. FRT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상태를 예측해 사고를 당하기 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에요. 예를 들어 넘어질 때 다리의 일부분을 딱딱하게 만들어 지탱하도록 하거나, 설사 넘어지더라도 몸이 땅에 닿는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작곡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답니다. 어떤 사람들은 뇌전도나 바다, 우주 현상에서 데이터를 얻어 음악을 만듭니다. 심박으로 작곡한 음악이 아름다운 점은 ‘무지카 후마나(Musica Humana)’라고 부르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 상상했던 아이디어를 실현했다는 사실입니다. What advice do you have for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나오더라도 누가 선정될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다만 몇 가지 힌트는 얻을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세계 과학자 29만 여 명의 연구 업적을 추적하고 있는 이성종 한국연구재단 국책기술전략팀장은 “페니실린이나 파란색 LED 개발 같은, 오래된 난제를 갑자기 해결해 수상한 경우는 아주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받고 있으며, 이 데이터를 아시아의 다른 국가에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 분석 모델은 천문연이 자체 개발해 쓰고 있다. 현재 태양폭풍 예측 정확도는 70% 정도. 김 선임연구원은 “이 모델을 이용해 9월 8일 발생한 태양폭풍 세기를 3일 먼저 거의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밝혔다 ...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맨-앤드린 메이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100개 이상의 지진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에너지가 방출되는 속도를 토대로 향후 일어날 지진의 최소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령 지진이 점점 커지는 단계에서 이미 모멘트 규모 7.2에 도달하면 최소한 모멘트 규모 7.4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국은 국내에 설치된 수십 개의 관측소에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한다. 잦은 지진으로 데이터를 많이 축적한 일본도 50여 년간 사용한 보정값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1990년대 말에 발견하고 2000년대 초반에 규모식을 개선했다. 미국이나 이탈리아처럼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나라에서도 정확한 지진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e메일과 인터넷 사이트 게시판만 이용하게 했다. 또 모든 메시지는 실제로 지구~화성 간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인 20분만큼 지연시켰다. 유인 화성 탐사에서는 우주인의 심리적, 정서적인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현재 탐사선 기술로는 지구에서 화성까지 가는 데만 260일가량 걸린다. 따라서 일단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