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난 20년간 이 지역 산호초의 변화를 항공 및 수중 이미지, 해수면 온도 변화 등 데이터를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1998년, 2002년, 2016년의 세 차례에 걸쳐 유독 백화 현상이 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시기는 지구의 온도가 극심하게 상승했던 시기와 일치한다. 1998년에는 그레이트배리어리프의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수 없다는 게 이유였다. 또한 알파붕괴 발생시간, 알파입자가 가지고 나온 에너지량 등의 데이터 값이 1, 2차 실험에서 차이가 매우 크다는 점도 문제가 됐다. 모리타 박사팀은 확증을 위해 실험을 재개했다. 하지만 이전과 다르게 좀처럼 발견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로부터 7년 뒤인 2012년 8월, 모리타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기억에 남는 문제 중 하나는 실제로 해커가 특정 회사나 단체를 공격해서 중요한 문서나 데이터를 습득해 빼내오는 시나리오를 다양한 단계로 구성한 것이었습니다. 목표 시스템의 사양을 조사하고 회사 내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분석해 파일 시스템에 숨겨 놓은 파일을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바탕으로 만든 수학 모형으로 합니다. 월드컵처럼 축구계의 큰 이벤트가 있으면 빅데이터를 다루는 기업에서 승부 예측을 내놓기도 합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당시 골드만 삭스와 울프람 연구소, 스위스 연방은행은 자체 개발한 수학 모형으로 승부를 예측했습니다. 유로 2016 때는 알파고로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용자들이 네이버에서 검색한 단어나, 블로그와 카페, 뉴스에서 읽은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AI가 스스로 학습해 개인별로 취향을 분류한 덕분이다. 네이버에서 사용자 상품 추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이정태 리더는 “에이아이템즈를 통해 지금까지 인지도가 낮았던 쇼핑몰이나 상품도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線)의 성분 분석 역할을 맡는다. 현재 ISS에서 검출한 일부 신호를 지상으로 송신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박 교수는 “우주 관측 실험 등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는 기초 분야부터 최첨단 탑재체 개발까지 국내 연구진은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며 “포스트 ISS 시대가 기대되는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타교 학생들과 함께 참가한 대회에서 어떤 주제에 대해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고 데이터 해석 방식도 아주 다른 경우를 접했다”며 “이를 통해 시야가 넓어졌고 창의력도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오 씨는 고등학교 공부가 대학 입시를 위해서만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조언도 덧붙였다.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마스(Access Mars)’다. NASA는 구글과 함께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전송해온 데이터로 입체적인 화성 지형을 제작했다. ‘화성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MD를 쓰면 불그스름한 화성을 배경으로 제트추진연구소(JPL) 과학자가 말을 걸어온다. 그를 따라 큐리오시티의 바퀴 자국이 선명한 주요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말했죠. 미래는 만들어가는 것!터친 교수는 역사 동역학의 목적이 과거 역사 데이터를 이용해 역사를 움직이는 법칙을 찾는 것이지만, 나라의 흥망성쇠를 예측할 수 있는 완벽한 도구는 아니라고 말해요. 현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 길잡이 역할을 할 뿐이지요. 터친 교수는 “언제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꿀 수 있게 됐습니다. 로봇 기자의 보도입니다.” 의료계에 진출한 로봇환자의 질환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는 ‘인공지능(AI) 의사’외에도 의료 분야에서 로봇의 활용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 각광받는 분야는 치료를 위해 직접 몸 속으로 투입되는 미세로봇이다. 박종오 전남대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