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않게 내 정보를 지켜주고 있다. 최근 암호학계에서는 ‘동형암호’가 각광받고 있다. 빅데이터와 자율주행자동차, 사물인터넷(IoT)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차세대 암호다. 그리고 그 뿌리에는 수학이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영지식증명은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데이터 무결성(데이터가 변조되지 않고 원래의 데이터로 보호되고 유지되는 일)’을 보장하기 위한 암호기술과 인증기술로, 기존의 정보보호 기술과 함께 사용돼 현재의 보안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수학적 호기심이 암호기술로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었습니다.”이 씨는 연구를 위해 유튜브에서 생명정보학 강의 동영상을 보면서 데이터 수집과 정리 기술을 익혔다. 교수와 매주 화상통화를 하고, 연구실도 찾아갔다. “열심히 공부했지만 기본적인 지식이 없는 상황에서 연구를 하다 보니 문제가 많이 생겼어요. 너무 막막해서 포기하고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SW의 융합을 강조한다. 실제로 다양한 융합반을 운영하고 있다. 김 원장은 “어떤 현상을 데이터로 나타내는 과학을 수학으로 분석한 뒤, 이를 컴퓨터의 언어로 바꿔 구현하고 자동화하는 과정을 통해 세 분야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거대 소수 찾기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점에 주목했다. 건강한 줄기세포가 새로운 세포로 분화하는 시기의 분자 특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유사줄기세포능 지수를 만들었다. 이 지수를 이용하면 암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시기를 파악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하우탄 노우쉬미 상파울루 의대 유전학부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미래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물리모델과, 과거의 기상 정보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통계모델 기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통계모델은 1시간 뒤의 단기적 상황, 물리모델은 1~2일 뒤의 중장기적 상황을 예측하는 데 유리하다. KISTI가 두 모델을 통합한 종합 시스템을 구축한 이유다. 조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같은 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3과 5는 비밀키를 감추기 위해 임의로 부여하는 수다. 이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10과 15를 더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암호화한 결과끼리 더하면 10+15+12345(3+5)=98785가 나온다. 이 경우 덧셈 결과는 매우 크고 복잡한 수(98785)가 되지만 구조적으로 10과 15를 더한 값에 1234 .. ...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것”이라며 “가령 아마존이 음성비서 ‘알렉사’로 소비자의 음성을 인식한 뒤 그 데이터를 그대로 구글 음성인식 서비스에 보내는 상황은, GDPR 하에서는 불가능한 반면 동형암호로 암호화한 상태에서는 가능하다”고 말했다. 논란의 여지도 있다. 고 교수는 “동형암호는 정보를 암호화시켜 ...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다르게 해서 여러 대를 쏘아요. 높이에 따라 산소, 헬륨, 수소에 의해 발생하는 오로라 데이터를 얻을 수 있지요. 조남석 소장은 “오로라 관측 로켓은 오로라가 나타나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발사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최적의 가성비로 오로라를 보려면?이번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하나의 망원경처럼 활용하면 지구에서 달에 있는 골프공도 볼 수 있어요. 현재는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이에요. 그렇다면 올해 발표될 블랙홀은 어떤 모습일까요?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님은 “블랙홀의 한 쪽이 더 밝게 보이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