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d라이브러리
"
맛
"(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들어 보도록 할게요.전복 : 조개류에서는 단연 저, 전복이 으뜸이죠. 예로부터
맛
과 건강을 동시에 잡는 건강식으로 유명했다구요. 전복죽 많이 들어 보셨죠? 그 이유는 아르기닌이라는 아미노산이 저에게 1100㎎이나 들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저 말고 조개류에서 유명한 분은 바로 굴 씨! 이 분은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르고 몸빛깔이 검다 저온에 견디며 방류나 이식이 쉽고 호소에도 잘 번식하며
맛
이 좋아 낚시고기에 알맞기 때문에 미국각지를 비롯해 세계에 이식되고 있다 수생곤충 갑각류 및 작은물고기를 잡아먹는 육식어(肉食魚)이다물 또는 용액속에 녹아 있는 분자상태의 산소 물속에서 생활하는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옥시토신과 같다 고초균(枯草菌, Bacillus subtilis)에서 분리하는 폴리 펩티드 항생물질 쓴
맛
이 있는 중성(中性)의 회백색 분말이며 물에 잘 녹고, 에탄올 · 메탄올 · 빙초산에 녹으며 에테르 · 클로로포름 · 아세톤에는 안 녹는다의약용으로는 용혈성 연쇄구균(溶血性連銷球菌) 및 포도상구균에 의한 ... ...
내 살은 양념 치킨
맛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공룡 : ‘쥬라기 공원’말이죠? 그 때 고생 좀 했죠.기자 : 그런데 도대체 누가 공룡 고기
맛
을 알아 낸거예요?공룡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의 메리슈웨이처 교수예요. 그녀가 2003년 우리 친구의 다리뼈 화석을 하나 발견했어요. 그 속에서 콜라겐 단백질을 뽑아 내 어떻게 생겼는지 분석한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아콘드라이트와 흡사하다 케토말론산이라고도 한다 무색의 결정으로 녹는점 121℃이다
맛
· 냄새가 없는 안정한 백색분말로 당뇨병 치료약의 하나 150~160℃에서 일부 결정수를 잃고, 210~220℃에서 분해된다췌장의 인슐린 분비기능의 회복을 촉진하고 혈당값의 저하, 요당의 감소 · 손실, 요중 케톤체의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훨씬 중요하다.‘매운’ 고추는 ‘좋은’ 스트레스 서울대 약대 서영준 교수는 매운
맛
의 원인인 캡사이신이 세포에 활성산소를 축적시킴으로써 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7월 국제 약학 저널인 ‘안티옥시턴트 산화환원’에 발표했다. 쉽게 말해 고추 1개를 먹을 때마다 스트레스를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서로 길을 잘못 들 염려는 없다.3 경고 - 향기는 나의 힘“부우욱~. 지독한 내 방귀 냄새
맛
좀 봐라.”스컹크 외에 플로리다바퀴벌레 같은 곤충들은 천적에게‘다가오지 마!’라는 신호를 보낸다. 노린재는 냄새샘에서 만든 고약한 냄새로 적을 몰아 낸다. 폭탄먼지벌레도 적을 만나면 질소와 황이 ... ...
거미줄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한다 황색의 결정성(結晶性) 분말이며 냄새는 없고 약간 쓴
맛
이 난다 디메틸포름아미드에는 녹으나 물 ·에탄올 · 아세트산에틸에는 잘 녹지 않으며 에테르 · 클로로포름에는 녹지 않는다 니트로화합물의 하나 1-니트로프로판과 2-니트로프로판이 있다 1-니트로프로판은 무색 액체이며 끓는점 1316℃ ... ...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맛
과 향기를 다 안다고 해서 그것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배추김치의 오묘한
맛
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바로 환원론의 맹점이다무성생식에 의해 한 개체에서 만들어진 유전적으로 동일한 생물체의 집단을 클론이라고 한다 옛날부터 원예에서 많이 이용돼 왔다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동일한 ... ...
한 번 속지, 두 번 속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몸집의 파리나 모기보다 벌이
맛
을 감지하는 유전자가 적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벌이
맛
으로 독이 든 꽃을 찾아낼 가능성은 적은 것이다. 그렇다면 벌이 독이 든 꽃을 가려내는 방법은 뭘까.연구팀은 설탕물과 독이 든 꿀을 놓고 벌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벌이 냄새로 꿀을 찾아낸다는 사실을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