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동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유전체 비밀 풀었다2016.10.20
- 완전히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염색체에 존재하는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서로 다른 종에서 유래한 두 종의 2배체 유전자가 하나로 합쳐져 4배체 유전자를 형성한 사실을 밝혀냈다. 권 교수는 “서로 다른 종의 염색체 그룹이 합쳐지면 양쪽의 모든 유전자가 ... ...
-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6.10.19
- DNA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DNA를 분석해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을 일으킨 페스트균의 염기 서열을 확인했다. 또 페스트균이 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유전자 nrdE, fadJ, pcp와 돌연변이 30개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당시 페스트균은 현대에 추정한 것보다 유전적으로 훨씬 다양했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동아사이언스 l2016.10.16
- 공동 연구팀의 연구성과를 다뤘다. 전 세계 142개 집단에서 300명 이상의 전체 유전자 서열을 분석했다. 지금까지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던 소수 민족 등의 유전자를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에스케 빌러슬레프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성과도 눈에 들어온다. 이들은 83명의 ... ...
- 2014년 한국 조류인플루엔자 세계 확산 주범은 ‘야생 철새’2016.10.14
- 16개국에서 각각 발견된, AI에 걸린 야생 새들에게서 추출한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서로 비교했다. 그 결과 AI 바이러스는 야생 새들의 두 가지 주요 이동 경로를 통해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경로는 아시아 대륙의 해안에서 유럽 대륙의 북극 해안을 거쳐 다시 서유럽으로 ... ...
- 합법적 자료 활용 vs.남의 연구자료 가로챈 ‘기생충’… 누가 옳을까2016.10.09
- 경우에는 원 연구자의 연구성과를 부정하는 결과를 내놓기도 한다”고 밝혔다. 유전자 서열 분석, 임상 시험 결과 등 다른 연구자가 수집한 원본 데이터를 해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는 생명정보학자들은 NEJM의 사설에 대해 거세게 반발했다. 출판된 논문은 이미 공공성을 띠고 있으며, 연구자가 ... ...
-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06
- 찾아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기술이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이다. 유전자의 특정 서열을 수십억 개씩 복제해서 그 유전자가 바이러스나 암 유전자가 맞는지 확인한다. 이 기술을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 프라이머는 ... ...
- 한국인 유전체, 서양인과 1만8210개 구조 달랐다2016.10.06
- 유전체 지도와 비교해 1만8210개 구조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찾아냈다. 유전체 안에서 염기서열 50개 이상이 다를 경우 1개 구조로 보고 있다. 이 중 1만1175개 구조는 이번에 새로 밝혀졌는데 한국인에게만 있는 것이 7710개, 서양인에게만 있는 것이 3465개였다. 이런 차이점은 앞으로 한국인을 포함한 ... ...
- 가장 정밀한 인간 유전체 지도. 한국 연구진이 분석2016.10.06
- 비교한 결과 약 1만8210개 구조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구조 하나 당 염기서열이 50개 이상 달랐다. 이 중 1만1175개는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형태였다. 의약품은 대부분 서양에서 개발되기 때문에 한국인 유전체와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항암제 ‘이마티닙’은 아시아인 12%에게 ... ...
- 엄마 2명, 아빠 1명 ‘세부모 아기’ 첫 탄생2016.09.28
- 난자에 친모의 핵을 이식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리 증후군처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서열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을 ‘미토콘드리아 질환’이라고 한다. 이와 관련해 150여 가지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엄마의 난자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세 부모 ...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2016.09.19
- 다만 서식지나 줄무늬 패턴의 차이에 따라 9가지 아종으로 분류해왔다. 그런데 게놈 서열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구성하자 완전히 새로운 그림이 그려졌다. 새로운 종 분류에 따르면 린네가 학명을 정할 때 참조한 아종(누비아기린)이 포함된 북부기린이 기존 학명을 물려받았다(Giraffa camelopardalis).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