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기서 나가고야 말겠어! 탈출을 꿈꾸는 새끼 판다2016.04.02
- 여긴 판다가 실상은 소화기관이 육식동물에 가깝다는 점입니다. 판다의 염기서열에는 ‘T1R1’이라는 유전자가 존재하는데, 이 유전자는 고기를 씹을 때 나는 감칠맛을 느끼게 합니다. 하지만 판다는 이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아 고기 맛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 잘 되는 고기는 먹지 않고, 다른 ... ...
- 나만 못살게 구는 상사 해결법2016.03.13
- 드린다면, 악독한 상사로부터도 배운다는 느낌으로 지내라는 것입니다. 아마도 당신은 서열의 사다리를 오르고 싶은 마음이 있을 것입니다. 피라미드의 꼭대기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는 높은 곳에 올라가서 아래를 내려다 보고 싶을 것입니다. 그러면서 어느 정도 일의 보람도 맛보고 싶고, ...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2016.03.07
- 특히 오세아니아 사람들에게 이들의 피가 섞였다는 놀라운 사실도 밝혀졌다. 게놈서열을 바탕으로 추정을 하자면 먼저 현생인류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의 조상이 55만~76만 년 전에 갈라졌고 그 뒤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이 38만~47만 년 전에 갈라졌다. 데니소바인은 치아와 ... ...
- 해양→육지→해양, 서식지 옮겨온 거머리말 유전자 완전 해독2016.02.21
- 호르닝언대 교수팀은 전 세계적으로 보호종인 거머리말의 전체 유전자 시퀀싱(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여러해살이 수중 식물인 거머리말은 해양 동물에게는 숨어서 쉬고, 산란을 할 수 있는 서식지를 제공한다. 또 수질정화 능력과 광합성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 ...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의 이종교배, 언제부터 이뤄졌나2016.02.18
- 동굴에서 발견한 여성 네안데르탈인의 DNA 구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21번 염색체 염기서열에서 현생 인류 유전자의 흔적을 발견했다. 반면 같은 동굴에서 발견된 데니소바인이나 스페인과 크로아티아 지역에서 각각 발견된 다른 네안데르탈인 2명의 염색체에서는 이 같은 흔적을 찾지 못했다. ... ...
- 빛도 산소도 필요 없다, 지하 세계 지배하는 미생물 발견 2016.02.16
- 지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의 생장 비결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유전체 염기 서열을 해독했다. 그 결과 하데스아키아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일산화탄소(CO)에서 얻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이 일산화탄소를 이용하는 화학적인 경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특이한 것이었다 ... ...
- 취준생을 위한 면접불안증 극복 방법 3가지2016.02.14
- 것보다는 주변의 은사님이나 집안의 어른, 높은 선배님 등을 자주 만나서, 이른바 ‘서열’이 높은 사람 앞에서 편안하게 대화하는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2016년, 준비하는 시험에서 모두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이대부속병원 ... ...
- 적조 원인 생명체 유전자 정보 모은 ‘온라인 백과사전’ 오픈2016.02.11
- 진행 중이지만 유전 정보가 부족해 관련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진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국내 연안에서 서식하는 18개 종(鍾)의 적조유발 계통주(한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유사종)에 대한 유전체 정보를 모두 확보했다. 진뱅크를 이용하면 과학자들이 각종 유전자의 세부 ... ...
- 美洲여행뒤 한달 헌혈금지-콘돔사용을… 감염 5명중 4명은 별 증상 없이 지나가동아일보 l2016.02.06
- 받아야 한다. 감염 여부는 6∼9시간 만에 판정되지만, 첫 양성 환자의 경우 유전자 염기서열 확인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이틀가량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양성이라도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기 때문에 격리 치료는 필요 없다. 지카 바이러스가 지난달 29일 제4군 법정감염병으로 ... ...
-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②] 먹이에 대한 본능은 정반대2016.02.03
- 것이다. 그 결과 늑대의 경우 서열이 낮더라도 자기 먹이를 지키는 모습을 보였지만, 서열이 낮은 개는 그렇지 못했다. 이는 먹이를 지켜야 한다는 본능보다 복종이 먼저라는 의미다. 이 결과는 ‘영국왕립학회지 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실렸다. 위키미디어 제공 그렇다고 개가 먹이에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