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너구리는 단일종? 지역마다 다르다네!
2015.11.18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너구리 두개골에서 샘플을 추출해 DNA 시퀀싱(염기
서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일본 너구리가 타지역 너구리와 유전적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공동 교신저자인 민미숙 서울대 연구교수는 “너구리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빠르게 적응하면서 형태와 ... ...
일란성 쌍둥이, 우린 얼마나 다른가요
2015.11.16
증식해 태아의 몸을 구성한다. 연구팀이 2개의 내세포집단에 대해 각각 RNA 시퀀싱(염기
서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집단의 크기가 서로 균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크기가 큰 집단은 이미 분화를 완료하고 다음 단계에 돌입한 상태였지만 크기가 작은 내세포집단은 아직 세포분화 중 ... ...
[토요스케치] 엄마 아빠 장점만 골라 닮았네, 토종돼지의 ‘점프’
2015.11.08
이 변이는 해당 유전자가 단백질로 발현될 경우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서열
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육질과 관련된 유전자인 ‘TTYH3’의 경우 변이가 생겨 560번째 아미노산인 아르기닌(R)이 글루타민(Q)으로 바뀐 것이 한 가지 예다. 김 박사는 “지방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TWIST1 등 지방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양자도약’을 가능하게 한 유용한 도구다. 제한효소는 DNA에서 특정한 염기
서열
을 인식해 자르는 효소다. 박테리아가 제한효소를 갖고 있는 이유는 세포 안으로 침입한 파지의 게놈을 파괴하기 위해서다. 과학자들은 파지의 대한 방어수단인 제한효소를 이용해 특정 유전자를 실은 DNA구조 ... ...
‘新유전자 가위’로 고친 식물, GMO 논란 無
2015.10.20
외부DNA 없이 스스로 작동하는 유전자가위를 식물세포 내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DNA 염기
서열
을 수정하는 데 성공했다. 담배에서는 식물 호르몬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교정했으며, 상추는 식물 호르몬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교정해 스트레스에 강하도록 만들었다. 김 단장은 “외부 ... ...
현생 인류,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거 맞다
2015.10.09
UNIST) 교수(사진)팀은 더블린대가 추출한 화석의 DNA를 넘겨받아 시퀀싱(염기
서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모타 동굴인은 갈색 눈에 검은 피부를 가진 남성으로 유라시안의 모습과는 다른 것으로 판명됐다. 또 우유를 소화하는 유전자가 없어 농경 사회 이전인 수렵채집 문화권에 살았던 것으로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있는 반면 사람에서는 없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사람의 게놈에서 광분해효소와 염기
서열
이 비슷한 유전자가 두 개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들은 무슨 역할을 할까. 궁금해진 산자르는 연구에 뛰어들었고, 이 유전자들이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 ...
[2015 노벨 화학상] DNA 복구 과정 밝힌 과학자 3명 수상
2015.10.08
절단복구’ 과정을 발견했다. 모드리치 교수는 두 가닥의 DNA 사이에 짝이 맞지 않는 염기
서열
을 골라 고치는 ‘미스매치 복구’ 과정을 밝혀냈다. 산자르 교수는 자외선에 의해 DNA가 손상될 때 염기뿐 아니라 DNA를 구성하는 ‘뉴클레오티드’를 잘라내는 ’뉴클레오티드 절단복구’ 과정을 ... ...
정신지체 유전 질환 ‘취약 X 증후군’ 유전자 교정 첫 성공
2015.10.04
만큼 염기
서열
을 잘라내 유전자 기능을 되찾게 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이 DNA에서 반복
서열
을 제거하자 FMR1 유전자는 단백질로 발현되기 시작했다. 이때 유전자가 단백질로 발현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CpG섬)에서 탈메틸화가 일어났다. 김 교수는 “질병 원인 유전자인 FMR1를 어떻게 ... ...
7년간 2504명 분석, 인종 별 유전 다양성 밝혔다
2015.10.04
의대와 보스턴어린이병원 등 공동연구팀은 사람의 대뇌 피질에서 얻은 뉴런에서 염기
서열
의 다양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뉴런 36개에서 수천 개에 이르는 다른 곳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뉴런의 돌연변이가 DNA에서 mRNA가 전사될 때 실수(에러)가 생기면서 일어난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