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설악산 산양과 울진 산양, 유전자가 다르다
2015.09.02
국내 야생에 사는 산양 57마리의 DNA를 수집하고 유전적 특성이 잘 드러나는 특정 염기
서열
부위 12군데를 비교했다. 그 결과, 설악산 고성 양구 화천 등 강원 북부에 사는 산양과 삼척 울진 등 강원 남부와 경북 북부에 사는 산양이 별도의 집단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에 ... ...
“국내 메르스 바이러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전파된 것 맞다”
2015.08.31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메르스 바이러스 총 93종의 전체 RNA
서열
을 비교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실험및분자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28일 자에 총설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6월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가 추정한 국내 첫 메르스 환자의 ... ...
에볼라 전쟁에서 얻은 교훈
2015.08.09
7월에서 11월 사이에 감염된 환자에게서 얻은 에볼라 바이러스 게놈 샘플 85개에서 염기
서열
을 분석한 결과도 실렸다. 여기서는 에볼라 바이러스 중 다양한 돌연변이에 의해 생긴 3종류의 계열이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있다는 증거를 잡았다. 사이언스 제공 거대한 기둥 세 개. 그리고 이 기둥을 ... ...
피 안 멎는 혈우병, 세포치료제로 고칠 수 있나
2015.07.24
혈우병을 일으키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했다. 유전자 가위는 DNA에서 원하는 염기
서열
만 찾아내 잘라 내는 효소를 말한다. 혈우병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한 줄기세포를 혈액응고인자를 만드는 혈관내피세포로 분화시킨 뒤 혈우병에 걸린 쥐에게 이식했다. 쥐의 꼬리를 잘라 인위적으로 출혈을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확인했다. 특히 인간에게도 miRNA-9a에 대응하는 miRNA-9가 있는데 두 마이크로RNA는 핵심 염기
서열
이 동일하기 때문에 인간에게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 연구원은 “사람의 miRNA-9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뒤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까지 전달하는 방식으로 비만과 당뇨병을 ... ...
진돗개, 군견으로 성공할 수 있을까
2015.07.03
특정한 패턴이 발견됐다”면서 “토종견인 삽살개도 TH 유전자에 동일한 염기
서열
패턴을 가진 경우가 발견된 만큼 진돗개에게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TH 유전자 관련 연구 결과를 지난해 4월 일본유전학회가 발행하는 ‘유전자 및 유전 시스템(Genes & Genetic Systems)’에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그런
서열
이 훨씬 더 많다는 사실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박테리아는 이런
서열
에 있는 아데닌을 6mA로 바꿔 제한효소가 인식하지 못하게 했다. 6mA는 박테리아 게놈의 보호장치인 셈이다. 그런데 1980년대 이래 진핵생물인 단세포 녹조류 클라미도모나스를 비롯해 여러 종에서 아데닌의 0.5~10 ... ...
1000배 더 정확한 유전자 진단 기술 개발
2015.06.29
찾고자 하는 바이러스의 특이한 염기
서열
과 짝을 이루는 염기
서열
을 넣어 일치하는 염기
서열
이 있는 지를 찾는 방식이다. 하지만 찾고자 하는 유전자의 양이 적거나 다른 유전자와 확연히 구분되는 특이한 부분이 적을수록 정확도는 떨어진다. 김 교수팀은 빅데이터 처리기술을 이용해 가장 ... ...
‘불멸의 세포’ 막는 장애물의 정체는?
2015.06.28
실타래처럼 응축돼 있는 세포의 염색체다. 녹색은 염색체 ‘텔로미어’의 반복되는 염기
서열
(TTAGGG)이고, 빨간색은 DNA가 손상된 부분을 나타내는 마커다. 빨간색과 녹색이 겹쳐 있는 부분은 텔로미어에서 DNA 손상이 일어났다는 의미다. 잔 칼시더 미국 솔크연구소 박사팀은 이번주 ‘네이처’에 ... ...
“유전자 끼리 소통 과하면 우울증 걸리기 쉬워”
2015.06.28
알아냈다. - KAIST 제공 연구진은 정상인과 정신질환자의 사후 뇌 조직을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법으로 비교한 결과 우울증, 조울증,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유전자끼리의 네트워크가 활발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유전자끼리 소통이 많아지면 면역 및 염증반응이 비정상적으로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