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2014.12.22
- 당시 막 뜨는 분야인 분자생물학을 기웃거리기 시작했다. 결국 1977년 길버트는 DNA염기서열분석법을 개발했고 이 공로로 1980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물리학자 6명 가운데 프랑수아 앙글레르와 피터 힉스 두 사람만 2013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는데(당시 5명이 살아있었다), ...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2014.12.19
- A),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 등 4가지로 알려진 DNA 염기서열에 X와 Y라는 인공 염기서열을 더해 인위적으로 대장균을 합성한 내용도 순위에 들었다. 이 밖에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셀’을 연구실에서 인위적으로 배양해 당뇨병 치료에 활용하려는 연구와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흥분 ... ...
- 몸속에서 뺏고 빼앗는 ‘철(Fe)의 전쟁’ 2014.12.14
- 침팬지, 다람쥐원숭이 등 영장류 21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사람이 트랜스페린의 염기 서열을 빠르게 바꾸는 방법으로 세균의 공격에 맞서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 놨다. istockphoto 제공 돌연변이가 심한 부분은 트랜스페린 단백질 중 세균의 TbpA에 직접 붙는 부분이다. 트랜스페린 ... ...
- 숙주나물 되는 녹두의 유전체 지도 첫 완성2014.11.19
- 차세대염기서열분석기(NGS)를 이용해 녹두의 염색체 11개, 약 2만3000개 유전자의 염기서열 전체를 해독했다. 또 녹두가 콩과식물이라는 점에서 콩의 유전체와 비교한 결과, 녹두는 유전체 크기가 콩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콩은 유전체 중복이 2번 이뤄졌지만 녹두는 1번만 일어났기 ... ...
- 무엇이 그를 길들였나2014.11.11
- F. silvestris lybica)의 유전체를 비교했다. 그 결과 GRIA1, PCDHA1, PCDHB4 등 13개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를 진행한 웨슬리 워런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이들은 주로 보상, 기억 등 뇌 속 신경세포 기능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라며 “야생동물이 사람의 집에 있는 ... ...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4.10.31
- 왼쪽)와 Y 염색체(오른쪽)의 실제 모습. Y 염색체의 염기서열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염기서열의 1.9%에 불과하며, 최근에는 Y 염색체가 없어질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 네이처 제공 Y 염색체가 담고 있는 유전자는 현재 78개가 밝혀졌는데 이 중 20개가 실제로 기능한다고 알려졌다. Y ... ...
- 요즘 대세 쌍둥이, 자꾸 태어나는 이유는?2014.10.10
- 않는다. 올해 2월에는 일란성 쌍둥이라도 돌연변이로 인해 일부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08년에는 미국 네덜란드 스웨덴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이 일란성 쌍둥이 19쌍을 대상으로 전체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유전자 개수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허윤미 목포대 ... ...
- 폐렴구균은 여섯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2014.10.01
- 0초에 한 명씩 폐렴구균으로 목숨을 잃고 있다. 연구진은 폐렴구균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면서 페렴구균 DNA 속에 ‘메틸기’가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면밀하게 관찰했다. 메틸기가 DNA에 달라붙으면서 해당 세포를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그 결과 DNA 속 메틸기가 여섯 가지 패턴으로 나뉘며, ...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2014.09.26
- 경우 이 유전자의 수가 더 많다는 것이다. 사람마다 유전자가 다른 이유가 대부분 염기 서열 차이 때문일 거라고 생각했던 당시 학계의 가설을 뛰어넘는 발견이었다. 리 소장은 “유전체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톰슨로이터가 노벨상 후보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 ...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2014.09.23
- 염기서열이 쉽게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갔다. 김 교수는 “새롭게 발견한 이 짧은 염기서열 때문에 세균이 여러 가지 항생제 환경에 민첩하게 적응해 생존할 수 있다”며 “이런 메커니즘은 세균뿐 아니라 인간 유전체에도 존재하는 만큼 향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