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서열"(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복사해 단백질을 생성하는 전령RNA(mRNA)가 임무를 마치고 분해되는 과정을 '꼬리서열 분석법'으로 밝혀낸 것도 큰 성과로 평가받았다. 다섯째 연구성과는 '재사용 그래핀 연료전지 촉매 개발'이다. 그래핀(graphene)은 탄소 원자들이 6각형 벌집구조로 배열된 원자막으로서 전류 수송 능력이 구리의 150배, ...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IBS l2015.12.28
- 나노기술의 쓰임 중에서도 그 활약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의료기술이다. 염기서열 분석, 생체이식소자, 약물전달 시스템, 생체 친화적 인공기관 제작, 나노센싱, 나노의료로봇, 나노 주사기 등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나노기술을 활용한 의료 ...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IBS l2015.03.30
- 사용된다. 식물팀은 양배추, 토마토, 야생 담배 등을 기르고 이 식물들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변형시켜 기존 과학계에 아이디어로만 존재했던 여러 변이를 실체화시키고 있다. 그에 더해 한국생태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의 특성을 깊이 연구하여 이를 활용한 생명과학과 생명공학 ...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KISTI l2015.03.10
- 우리는 일란성 쌍둥이의 DNA는 완전히 똑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태어나는 순간의 염기서열이 100% 일치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일란성 쌍둥이도 아주 미미하지만 태어나기 전부터 유전적인 차이를 갖고 태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유로핀스(EUROFINS, 유해물질 분석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DNA 복구에 대한 연구 분야가 점점 확장되고 있다"며 "그리고 DNA 복구 연구는 유전체 염기서열뿐 아니라 그 주위를 싸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이 어떻게 변화되는가에까지 관심이 넓어지면서, 유전체 항상성은 히스톤에 따라 유전자가 다르게 발현되는 후성학적(epigenetical) 문제까지 관련되고 있다"고 ...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2015.01.19
- 발표했던 '꼬리서열분석법(TAIL-seq)'을 이용해 얻은 결과라는 점에서 더 의미가 깊다. 꼬리서열분석법 역시 RNA연구단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이 두 연구에 참여한 연구원 중 한 명인 임재철 연구원은 아직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이었다. 수의학도에서 기초과학 연구원이 되기까지 ... ...
- 자기조립 나노물질로 항암치료 신기원 연다IBS l2014.11.13
- 성질이 있다는 점에 착안을 했다. 크기 10nm 이하의 금 나노입자에 이 DNA의 상보적 서열을 붙여 몇 개가 뭉치게 했는데, 이렇게 형성된 클러스터는 크기가 100~200nm로 pH가 중성인 혈류 안을 순환하고 암세포에만 가게끔 된다. DNA 이중나선에는 독소루비신이라는 항암제를 담았고, 금 나노입자에는 ...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동아사이언스 l2014.10.14
- 제주도에서 강원도까지 국내에서 선별한 500여 종 중에서 가장 우수한 종으로, 유전체염기서열분석을 완료하고 유전공학적으로 개량하고 있다. 또 연구단은 클라미도모나스(Chlamydomonas)라는 모델 균주를 유전자 변형시켜 기름 함량을 70% 높이고 더 빨리 성장하도록 만들기도 했다. 최근 연구단은 ...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IBS l2014.08.06
- DNA를 인식해서 DNA를 자르게 되는데, 3세대 유전자가위는 RNA 유전자가위로 RNA가 DNA 염기서열을 인식한다. 김 단장은 "RNA와 DNA가 상보적인 염기쌍을 이루기 때문에 RNA만 교체하게 되면 3세대 유전자가위를 쉽게 만들 수 있다"며 "1세대, 2세대 유전자가위에 비해 만들기 쉬워 학계의 관심이 굉장히 크고 ...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IBS l2014.07.07
- 복원되지 않아 복제된 DNA의 길이는 원본에 비해 짧아진다. 텔로미어는 일정한 염기 서열이 여러 번 반복되는 부분으로 일종의 '자투리' 역할을 하여 DNA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텔로미어 자체에는 별다른 유전정보가 없고 복제의 시작점 역할을 할 뿐이다. 따라서 복제가 끝난 후 잘려나가도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