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년 한국 조류인플루엔자 세계 확산 주범은 ‘야생 철새’2016.10.14
- 16개국에서 각각 발견된, AI에 걸린 야생 새들에게서 추출한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서로 비교했다. 그 결과 AI 바이러스는 야생 새들의 두 가지 주요 이동 경로를 통해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경로는 아시아 대륙의 해안에서 유럽 대륙의 북극 해안을 거쳐 다시 서유럽으로 ... ...
- 합법적 자료 활용 vs.남의 연구자료 가로챈 ‘기생충’… 누가 옳을까2016.10.09
- 경우에는 원 연구자의 연구성과를 부정하는 결과를 내놓기도 한다”고 밝혔다. 유전자 서열 분석, 임상 시험 결과 등 다른 연구자가 수집한 원본 데이터를 해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는 생명정보학자들은 NEJM의 사설에 대해 거세게 반발했다. 출판된 논문은 이미 공공성을 띠고 있으며, 연구자가 ... ...
-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06
- 찾아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기술이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이다. 유전자의 특정 서열을 수십억 개씩 복제해서 그 유전자가 바이러스나 암 유전자가 맞는지 확인한다. 이 기술을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 프라이머는 ... ...
- 한국인 유전체, 서양인과 1만8210개 구조 달랐다2016.10.06
- 유전체 지도와 비교해 1만8210개 구조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찾아냈다. 유전체 안에서 염기서열 50개 이상이 다를 경우 1개 구조로 보고 있다. 이 중 1만1175개 구조는 이번에 새로 밝혀졌는데 한국인에게만 있는 것이 7710개, 서양인에게만 있는 것이 3465개였다. 이런 차이점은 앞으로 한국인을 포함한 ... ...
- 가장 정밀한 인간 유전체 지도. 한국 연구진이 분석2016.10.06
- 비교한 결과 약 1만8210개 구조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구조 하나 당 염기서열이 50개 이상 달랐다. 이 중 1만1175개는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형태였다. 의약품은 대부분 서양에서 개발되기 때문에 한국인 유전체와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항암제 ‘이마티닙’은 아시아인 12%에게 ... ...
- 엄마 2명, 아빠 1명 ‘세부모 아기’ 첫 탄생2016.09.28
- 난자에 친모의 핵을 이식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리 증후군처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서열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을 ‘미토콘드리아 질환’이라고 한다. 이와 관련해 150여 가지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엄마의 난자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세 부모 ...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2016.09.19
- 다만 서식지나 줄무늬 패턴의 차이에 따라 9가지 아종으로 분류해왔다. 그런데 게놈 서열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구성하자 완전히 새로운 그림이 그려졌다. 새로운 종 분류에 따르면 린네가 학명을 정할 때 참조한 아종(누비아기린)이 포함된 북부기린이 기존 학명을 물려받았다(Giraffa camelopardalis). ... ...
- 10만 년 전 고대 코끼리의 친척은 ‘둥근귀코끼리’2016.09.18
- 이용했다. 러브 달렌 스톡홀름 자연사박물관 연구원은 “일직선상아코끼리의 유전자 서열 전체를 복원하는 것은 지금까지 불가능한 일로 여겨졌다”며 “둥근귀코끼리 중 일직선상아코끼리와 섞인 종은 새롭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영국 옥스퍼드에서 열린 ...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2016.07.04
- 멘델 유전학을 배운 부작용이라는 말이다. 21세기 들어 후성유전학, 즉 유전자의 염기서열 자체는 변화가 없어도 외부요인으로 유전자 발현 정도가 영향을 받아 사실상 다른 유전자를 지닌 것 같은 결과가 나오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깊어지면서 멘델 유전학의 한계가 더 부각되고 있다. 사실 래딕 ... ...
- [미토콘드리아의 비밀]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07.03
- 1980년대에 처음 밝혀졌다. 유전자 계통도를 그릴 때 기준이 되는 단백질인 16s 리보솜의 서열을 확인한 결과, 미토콘드리아가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Alphaproteobacteria)의 후손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Proc Natl Acad Sci U S A. 1985 Jul; 82(13): 4443–4447). 이후 연구에서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중에서도 리케차목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