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선정 ‘올해의 10대 과학 연구 성과’는? 동아사이언스 l2016.12.23
- 신약, 신소재, 바이오센서 등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그동안은 원하는 DNA 염기서열을 만들어도 단백질의 안정적인 3차원 구조를 만드는 게 불가능했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자기조립이 가능한 인공단백질을 설계해 이를 극복했다. 일본 연구진이 유도만등줄기세포(iPSC)를 이용해 만든 인공 ... ...
-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무궁화의 생존 전략은?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100년 이상 자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무궁화의 유전체 전체를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기법(NGS)’으로 해독, 총 8만 7603개의 유전자를 분리, 분석했다. ▲카카오, 목화, 애기장대와 모든 꽃의 조상으로 불리는 암보렐라 등 4종 식물의 유전체도 분석해 비교했다. ▲그 결과 무궁화는 같은 아욱과에 ... ...
- 유전자 편집기술 ‘크리스퍼’ 효율 100배까지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벗어나 수천만 개가 넘는 가이드RNA가 제각각 DNA의 어떤 부분에 작용하는지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이라는 고속 유전체 분석기술을 이용해 확인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CpF1에 필요한 1만 개 이상의 가이드RNA의 효율과 정확성을 한꺼번에 검증하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로 ... ...
- AI공포 막을 방법 없을까…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전염병 진단기준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3
- 암 유전자가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프라이머’라는 짧은 염기서열을 이용한다. 프라이머는 찾아내고자 하는 바이러스의 유전자와 결합해 탐색을 돕는다. 하지만 각 바이러스에 적합한 프라이머를 제작하는 일이 어려워 전염병의 초동조치는 늘 늦어졌다. 연구진이 제작한 ... ...
- 수천 년 됐다는 천연두, 사실은 16세기 때 첫 유행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DNA 서열을 완벽히 읽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것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바이러스 DNA 서열 분석이다. 연구진은 17세기 천연두 바이러스와 현대의 천연두 바이러스를 분석한 결과, 천연두 바이러스가 사람들 사이에서 처음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1588년부터 1645년 사이인 것으로 추정했다. 기존 ... ...
- 말라리아는 2000년 전 로마제국 시대에도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6.12.06
- 발견된 적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유골의 치아에서 조직을 떼어내 DNA의 염기서열을 해독한 결과, 말라리아 원충의 일종인 열대열말라리아원충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발견했다. 열대열말라리아원충은 말라리아 원충 중에서도 가장 전염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 ...
- 폐암, 후두암, 구강암 일으키는 원리 밝혀져과학동아 l2016.12.05
- 교수팀과 미국, 일본, 영국, 벨기에 국제공동연구팀은 암 환자 5243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담배 연기 속 유해물질이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켜 암을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다. 연구팀이 조사한 환자들은 총 17가지 종류의 암을 앓고 있었다. 이들 중 흡연을 한 ... ...
- 탈진한 면역 세포가 제 구실 못하는 이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04
- 것이다. 연구진은 다양한 환자의 생식세포에 발생한 암세포를 분리해 DNA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들 세포에서는 화학요법 이후 ‘케이라스(KRAS)’라는 유전자에 다른 암세포에서보다 더 많은 변이가 나타났다. 케이라스는 세포 증식에 작용하는 유전자로, 이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 ...
- 한국인 특이질환 찾아 낼 ‘표준 유전자 지도’ 나왔다2016.11.24
- ‘울산 1만 명 게놈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2018년까지 울산 시민 1만 명의 한국인 염기서열을 분석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약과 진단기기 역시 개발할 계획이다. 코레프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발표된 역대 10개 인간게놈지도에서 8번 염색체를 비교한 그림. 인간표준게놈지도에는 ... ...
- “살찌기 쉬운 체질이군요… 식사조절 유의하세요”2016.11.18
- 체질이 결정된다. 유전자 검사는 결국 ‘단일염기다형성(SNP)’이라고 하는 이 0.1%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신형두 교수(사진)가 유전자 진단에 활용하는 장비를 들어보이며 설명하고 있다. - 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에스엔피제네틱스는 국립보건원 자료에 근거해 15년간 국내 유전자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