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절
명일
명질
d라이브러리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안쪽에 있는 수분도 빠져나가며 미생물을 죽게 한다.그렇다면 김치는 왜 ‘소금’에
절일
까. 과거에 소금은 아주 귀한 식재료여서 음식에 사용하기 어려웠는데도 말이다.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다른 절임과 마찬가지로 탈수작용이 일어나면서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시킨다. 그러나 김치를 ... ...
생활 속 밀도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맞는 김치를 담그신다.그 비밀은 바로 달걀! 달걀을 고추양념에 넣는 것이 아니라 배추를
절일
때 쓰는 소금물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이용한다. 따뜻한 물에 신선한 달걀을 넣고 달걀이 살짝 뜨는 정도까지 소금을 넣으면 배추를 절이기에 알맞은 농도의 소금물을 만들 수 있다. 즉 달걀이 비중계의 ... ...
누드달걀 과학 노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용질의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배추를 소금에
절일
때 배추보다 농도가 높은 소금물 쪽으로 물이 이동해 배추가 절여지는 현상은 삼투현상의 좋은 예다.달걀의 안쪽막은 앞서 말했듯이 반투과성 막이다. 식초에서 꺼낸 누드달걀을 12시간 정도 물에 넣어두면 ... ...
PART1 개인 맞춤형 암 관리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순으로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박 단장은 “냉장고를 사용해 음식을 소금에
절일
필요가 줄면서 짠 음식이 발병원인의 하나로 지목되는 위암이 감소하고, 서양인처럼 고지방 음식을 많이 먹으면서 대장암과 유방암이 증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또 암 생존율(치료 후 5년 생존율)은 2005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김치의 역사
기사
l
20220814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부터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생 채소를 소금이나 장에 절이는 단순한 형태로 중국과 달리 식초 등을 채소를
절일
때 쓰는 재료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2.젓갈을 사용한 섞박지 탄생 조선초기 귀한 젓갈을 여러 양념과 함께 섞어 만든 섞박지가 만들어 졌습니다. 그러나 젓갈 김치는 고급김치에 속했기 때문에 대중화 되지는 않았습니다. ...
발효식품에 대해서
기사
l
20200222
또 김치는 김치속과 김치를 비벼 만든 우리나라 발효음식 입니다. 김치의 발효는 유산균이 맡는데요 대부분의 미생물은 소금에
절일
때 죽지만 유산균이나 젖산균은 남아서 김치를 익힌다고 합니다. 다음은 된장인데요 [출처: 카카오톡 이미지] 된장은 메주를 건져서 담그고 소금을 뿌리고 숙성시키면 된장이 됩니다. 된장은 그냥 먹으면 맛이 별로 없지만 찌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4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1편 공릉: 온순하고 너그러우며 아름답고 어질고 자혜로운 장순왕후 이야기
기사
l
20160325
시킬 수가 없으니, 그 의상(儀象)의 잡물(雜物)은 가설(加設)하지 말아라. 인수 왕비(仁粹王妃)는 지금 위호(位號)를 바로잡았으니 무릇
절일
(節日) 의 방물(方物)과 월령(月令) 의 물선(物膳)은 진실로 마땅히 예절과 같이 봉진(封進) 해야 할 것이나, 다만 근래에 국가에서 사고가 많고 민간에서는 일이 번다(煩多) 하여, 예절과 같이 취판(取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