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스페셜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2.17
하고 있다. 로젯 샘플러는 아래위로 열려 있는 원통형 장비를 원하는 깊이까지 넣어
바닷물
을 채취해 온도, 염분, 용존산소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외해 양식에서는 일정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실험에 꼭 필요한 장비다.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인류의 문명은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9]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0”
2015.12.02
우라늄 원료를 필요로 하는 것과 달리 핵융합의 원료가 되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바닷물
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다. 심화되는 에너지 위기에서 인류를 구원할 꿈의 에너지원인 것이다. 하지만 지구는 태양이 아니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태양과 같은 ... ...
신규원전으로 알고 싶어진 에너지 시설에 대한 오해 BEST 5!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파이프를 먼 바다까지 부설하여 온배수가 식을 시간을 충분히 두는 한편, 다량의
바닷물
속에 온배수를 배출하여 수온 변화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결국 온배수는 생태계에 분명 영향을 주기는 한다. 다만 냉수성 생물들이 타격을 받을 뿐, 온수성 생물들에게는 오히려 온배수가 도움이 된다.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3)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파고 높은 동해바다라 까딱 방심했다가는 얼음장같은 바다에 빠지고 만다. 0도에 가까운
바닷물
에 빠지면 아무리 오래 버텨봐야 10~15분. 그나마도 당장 몸을 따뜻하게 하지 않으면 저체온증으로 생명을 잃을 수 있다. 물 밖에서도 상황은 만만치 않다. 조업이 한창인 1월에는 뱃전에서 흩어진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글로위의 생물발광 조명은 프랑스 앞바다에서 채취한 심해 세균 알리비브리오 피셰리를
바닷물
과 함께 조명에 넣고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 발광을 유도하며 빛을 발생시킵니다. 발광 생물 조명은 효율이 90%에 달하기 때문에 열로 에너지가 손실되는 인공조명과는 다르게 에너지가 낭비되지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배관을 통과하는 것과 비슷해서다. 골든이 2007년에 만든 이 수식을 이용하면 빙하 속
바닷물
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빙하가 녹는 현상을 더욱 자세히 이해하거나 기후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용어 설명*영구동토층 : 토양 온도가 0℃ ... ...
[4컷 만화] 바다의 짠물이 만들어진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해저 속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주변
바닷물
과 섞입니다. 이렇게 섞인
바닷물
을 남극저층수라고 해요. 남극저층수는 대기 중의 탄소를 심해에 가둬 기후변화를 늦추는 역할도 합니다. 남극저층수는 수심 4000m 이하의 심해에서 이동합니다. 연구팀은 남극저층수가 1초에 40만 m3의 속도로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중으로 퍼지면서 바닷속 산소의 농도가 낮아집니다. 2019년,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는
바닷물
속 산소가 줄어들면 오징어나 문어 등 일부 해양 생물들이 시력을 잃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오징어가 먹이를 잡고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선 눈의 망막이 빛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해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개쩌는 그간 상황 정리
포스팅
l
20250811
기억해야한다. 지금 남아있는 이들의 대다수가 모르겠지만 옛 팝플의 관리자들도 관리를 하지 않았다는것.지금과 같은 찬란한 여름-
바닷물
이 반짝이던 대략 몇년전 여름. 조세구(예전에 이상한링크올리고 그랫던 놈)도 있고 ㅈㅅㅎ도 있고 어린이과학동아, 즉 팝플의 전성기. 여러 논란이 터져도 관리자는 몇주 후에 움직였다. 당시 매니저 리라고 있었고, 당 ...
[어과동 500호]
바닷물
로 지구온난화 해결 방안 찾아 기후위기 막는다
기사
l
20250716
바닷물
을 가공하여 온실가스를 없애고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바닷물
에 특정 시약을 넣으면 나오는 온실가스를 없애는 효과가 있는 액체를 가공해 에어로졸 상태로 만들었습니다. 이 에어로졸을 분사하면 공기 중의 온실가스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가스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유독 물질이 ...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하는 야쿠시마탐사.
기사
l
20250618
바다거북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우리가 관찰 했던 바다거북은
바닷물
과 너무 가까운 곳에 알을 낳았다. 이런 경우 바다거북의 알은
바닷물
의 잠겨 부화을 못 하게 되기 때문에 사람이 안전한 곳으로 알을 옮기기도 한다. 또 바다거북의 산란을 관찰하고 기록 하는 이유는 기록을 통해 알아 낸 정보로 바다거북의 개체를 지키기 위해서다. 야쿠 ...
문어는 왜 심장이 세 개일까? 바다 생존의 과학
기사
l
20250527
않으세요?문어는 왜 심장이 3개일까요?문어는 바닷속에서 사는 연체동물로, 우리처럼 혈액을 온몸에 순환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바닷물
에는 공기보다 산소가 훨씬 적기 때문에, 산소를 더 효과적으로 운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문어는 심장이 무려 3개나 있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답니다! 각각의 심장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중앙 심장 (체심장) 1 ...
[어과동태국탐험대] 태국에서 만난 동물들의 삶을 이해하다
기사
l
20250525
우린 해양생물학 센터에 갔다. 목요일엔 해파리에게 먹이를 주고, 해파리의 먹이인 플랑크톤을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금요일엔
바닷물
이 산성화가 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알아보았다. 산성, 중성, 염기성을 알 수 있는 간단한 실험도 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바다에 대해 잘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실험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