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조
짠물
기침
수해
바다물
뉴스
전도성·접착력 모두 잡은 신물질로 차세대
해수
전지 성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이동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황정욱 연구원.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해수
전지가 물속에서 장시간 고효율 ... 연구원은 "반결정성 고분자 설계를 통해 기존 바인더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수
전지의 성능을 향상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9/D5EE0135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작은 소용돌이가 일으키는 '나비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9
기반으로 준중규모 소용돌이의 역학과 영향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준중규모 소용돌이는
해수
면과 심층수 사이에서 열, 탄소(C)와 영양분 순환에 영향을 주는 수평·수직 해류를 생성했다. 기존 예측보다 지구에서 해양 에너지, 해양 생태계, 날씨와 기후 등 해양 순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 ...
대만서 발견된 미스터리한 인간 화석은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전 또는 7만~1만 년 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펑후 1 화석이 발견된 지역은 당시
해수
면이 낮아 대륙과 연결됐다. 연구팀은 펑후 1 화석의 발견 지점이 데니소바인의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시베리아, 티베트 고원에서 대만에 이르는 지역에서 고산의 추위뿐 아니라 저위도 ... ...
[과기원NOW] DGIST, 식물 잔존세포의 표피세포 변화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줄무늬 증발기'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월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해수
담수화'에 공개됐다. 태양열 기반 증발식 담수화(SSG) 기술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담수화 방식이지만 면적이 커지면 중심부에 수증기가 축적돼 증발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얼룩말의 줄무늬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작은 소용돌이가 일으키는 '나비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9
기반으로 준중규모 소용돌이의 역학과 영향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준중규모 소용돌이는
해수
면과 심층수 사이에서 열, 탄소(C)와 영양분 순환에 영향을 주는 수평·수직 해류를 생성했다. 기존 예측보다 지구에서 해양 에너지, 해양 생태계, 날씨와 기후 등 해양 순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 ...
[사이언스게시판] 원자력연 'K-해양방사능분석'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7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진. 원자력연 제공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자체 개발한
해수
속 스트론튬-90 분석법이 지난 1일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질 분야 총회에서 국제표준으로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스트론튬-90 신속 분석법과 전처리 장비는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환경공단 등 국내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태계 보고'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400년 만 최고 수온
동아사이언스
l
2024.08.10
1~3월 수온이 연평균 0.12℃씩 상승했다. 2016년, 2017년, 2020년, 2022년, 2024년의 1~3월 평균
해수
면 온도는 지난 400년 중 가장 온도가 높았던 6번 중 중 5번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추가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1900년 이후 일어난 온난화 가속은 인간의 영향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 ...
[표지로 읽는 과학] 2050년 홍수 위험에 처하는 미국 도시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기후변화 완화 노력을 통해 기온을 안정시키는 데 성공하더라도 과거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
면은 계속 상승할 것"이라며 "해안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홍수 방어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4컷 만화] 바다의 짠물이 만들어진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극지연구소가 남극 바다에서 짠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밝혔어요. 지난 1월 18일, 극지연구소 이원상 책임연구원은 국제 공동연구팀과 함 ... 지구의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는 해류 순환은 물론
해수
면 상승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배가 산으로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한 층씩 산을 오르는 엘리베이터 방식의 운하로 만들었어요. 이 때문에 파나마 운하는
해수
면보다 26m나 높아요. 아파트 10층과 비슷한 높이죠. 선박들이 갑문 안으로 들어오면 운하는 물을 채워 더 높은 갑문으로 배를 올려 보냅니다. 배는 운하 중간에 위치한 가툰 호수에 도착하면 반대편 바다를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땀샘 / 슈퍼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길고, 30% 더 밝습니다. 이 현상은 1년에 3~4번 정도 나타나요.슈퍼문이 뜨면 밀물과 썰물의
해수
면 높이 차가 평소보다 커져요. 밀물과 썰물은 지구와 달, 혹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끌어당기는 힘 때문에 발생합니다. 슈퍼문 때는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이 힘이 강해져 밀물과 썰물 ... ...
Day2. 깎아지른 수직 협곡과 옥빛 하천이 눈앞에! (타이루거 협곡-칠성담 해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전혀 다른 종류인 암석인 변성암(대리암)으로 바뀌었어요. 이후 400만 년 전부터 서서히
해수
면 위로 융기해 산맥을 이루었지요.“물살이 엄청나게 센데요?” 타이루거 협곡의 멋진 지형은 빠른 융기뿐 아니라, 바닥을 강하게 깎는 리우강의 협주로 만들어졌어요. 빠르게 흐르는 하천이 바닥에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특이한 호랑이, 벵갈호랑이의 특징!
기사
l
20250316
~3.3m에요. 벵갈 호랑이는 멸종위기 종 이랍니다. 벵갈 호랑이가 서식하는 방글라데시와 인도의 순다르반스 지역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면 상승으로 물에 잠길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순다르반스는 벵골 호랑이를 포함한 수백 종의 동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2070년이 되면 순다르반스 습지는 모두 물에 잠길 것이고, ...
이카루스....??
포스팅
l
20250311
태양에 밀랍이 녹아버려 깃털이 하나 둘 떨어지는 날개를 붙잡고 애써 퍼덕거려보다가 결국 고요하고 검푸른 빛의
해수
면으로 힘없이 곤두박질치는 기분이었다. 태양께서는 내가 그곳으로 향하는 것을 가만히 보고 있지 않았다. 바다가 나를 삼켜버린 후 남아있는 나의 흔적이라고는 곧 사라져버릴, 바다를 몇백 번 넘게 반으로 접어도 그것을 다 채우지 못할 잔 ...
바다에서 조심해야 할 것 2. 문어
기사
l
20241003
무엇인지 알고 있을 겁니다. 문어는 이 동그란 빨판을 이용해 먹이를 제압해서 먹습니다. 하지만 문어가
해수
면이 뜨거워 지면서
해수
욕장으로 올라오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빨판에 물리기도 합니다. 문어의 빨판은 힘이 강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물리기도 합니다. 2.독 문어는 독이 있을 수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무늬가 ...
-부산 벡스코
기사
l
20240831
올라간다고 합니다. 이 때 집열판의 열매체유는 집열판이 타는 것을 막게 해 주며 전기, 도서산간 지역의 냉난방, 스마트팜에서부터
해수
담수화 및 염전,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도로결빙방지 열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기술로 이루어져 있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태양열집열기를 보니 정말 뿌듯했습니다. 또 석유가 나는 ...
제주도에서 기후변화를 눈으로 확인하자!
기사
l
20240824
농도가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빙하의 크기가 줄어서
해수
면이 낮아졌습니다. 이를 보고 저는 현재 우리가 간빙기에 살고 있는데
해수
면이 증가하고 이어서 온실가스가 나와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까봐 걱정이 되었습니다. 제주도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 저는 이곳에 있었던 화석들 중 가장 인상 깊었던 화석 3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