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스페셜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세차운동, 공전궤도이심률의 변화 등 천문학적 요인들과, 고문서 기록·빙핵 분석·
바다
와 호수 밑 퇴적층 분석·나이테 분석 등의 변수들을 포함한 기후모델로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행, 과거의 기후변화를 추정했다. 이를 해수면 변화와 함께 식량생산성․기온․지형 등을 변수로 구성한 ... ...
인간의 아름다운 의지, 유전자의 한계를 극복하다. 가타카(GATTACA, 1997)
IBS
l
2016.04.04
우주비행사에 대한 꿈을 갖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인물이다. - 콜롬비아 픽쳐스 제공
바다
한 가운데서 시합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던 프리먼은 위기에 처한 안톤을 구해내고 시합에서 이기게 된다. 성인이 된 프리먼이 또다시 수영시합을 이기며 “나는 되돌아갈 힘을 남기지 않는다”고 말하는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3.04
환경친화성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제작비가 높고 관련 기술이 완전하지 못하며,
바다
라는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다양한 실험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빠른 시일 내에 연료전지가 발전이나 원동기의 주류가 될 것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하지만 최근 흐름으로 봐서는 선박용 연료전지 ... ...
그린십 기술로 환경과 경제 모두 살린다
2016.02.29
마친 상태이다. 향후 IMO의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이 발효될 경우, 협약 비준국 내
바다
에는 미처리 평형수는 버릴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전 세계를 운항하는 모든 선박은 의무적으로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장착해야 하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800억 달러(약 93조 원)에 이르는 새로운 시장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뉴스] 로봇 뱀, 토성의 위성에서 꿈틀꿈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연구팀은 “엔셀라두스를 보다 원활하게 탐사하기 위해 EELS가 얼음 아래에 있는 지하
바다
로도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기능을 개선하는 연구를 할 계획”이고 말했습니다 ... ...
[가상인터뷰] 유로파에서 하루 1000t의 산소가 쏟아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그래서 과학자들은 산소가 있는 행성을 계속 탐색하고 있지. 지난해 9월에는 유로파 지하
바다
에 탄소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어. 탄소 역시 생명체가 살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성분이야. NASA는 오는 10월 유로파 전용 우주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를 발사해 유로파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조사할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쓰나미 대피 요령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지진, 화산 폭발 등으로 발생하죠. 우리 말로는 지진해일이라고도 합니다. 쓰나미는 먼
바다
에서부터 많은 양의 물이 아주 빠르게 해안가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요. 2011년 일본 동북부 해안에서 높이 10m가 넘는 쓰나미가 발생했어요. 인명 피해는 물론 건물이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폴리스티렌, 미세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폴리스티렌은 재활용이 어렵고,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폴리스티렌은
바다
와 토양, 우리 몸속에서 미세플라스틱의 형태로 검출되고 있어요. 2022년 3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교 딕 베탁 교수팀은 성인 22명 중 17명의 혈액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고, 그중 폴리스티렌이 36%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독도의 대표, 강치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51101
일제강점기에 무차별 사냥 때문에 멸종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을거에요. 이제 강치에 대해 더 알아볼까요? 강치는 국어사전에 따르면 '
바다
사자' 라는 명칭이 더 정확해요. 하지만 독도의 토착종인 '독도 강치' 를 뜻하는 말일 수도 있죠. 그리고 독도, 울릉도뿐만이 아니라 한반도 동해 연안과 일본 혼슈 북부, 홋카이도 등에도 서식했답니다. 독도는 여름 ...
독도의 수호신, 강치
기사
l
20251026
독도 강치는 한때 '독도의 수호신'이라 불릴정도로 독도에 개체가 많았던 동물입니다. 강치는
바다
사자과 강치속에 속하는
바다
생물입니다. 동해안과 독도 주변에 서식하고, 가늘고 긴 몸에 짧은 꼬리가 특징이지요. 그런데, 그 강치가 이제는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강치가 멸종된 이유는 일본인의 무자비한 포 ...
바다
갔어요
기사
l
20251007
제주도 앞
바다
에서 스노클링 했어요. 그러던 중 소라도 찾고 물고기들을 많이 봤는데 너무 힘들어서 모래놀이로 넘어갔지요. 모래 우물을 만드는 도중에 조개를 찾았어요 .(사진 우물 아래쪽). ...
경골어류중 가장 큰 개복치를 얼마나 아시나요?
기사
l
20251007
있습니다. 지금까지 개복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개복치에 대해 많이 알아 줬으면 좋겠습니다. 파란
바다
세상을 신비스럽고 자유롭게 헤엄칠 개복치가 오래 오래도록 자연과 함께 살아가기를 희망하며 이 글을 마무리 합니다.저는 김예온 기자였습니다 ... ...
지금까지 자신의 필명을 확인하는법을 알아냈습니다
포스팅
l
20251005
넵 왜 공지를 저따구로 썼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왜 닉네임이 저 모양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자신이 지금까지 썼던 공지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제 필명들이 됐던 제 기억까지 합치면.. 그림작가->빛의마법사(..?)->화염여우->Knicks->오니아(..??)->
바다
조 러버->패리도트 러버->유메류->유메류 경사 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