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물
담수
바닷물
연수
fresh water
뉴스
"더불어 사는 지구!"…동아사이언스, 지구사랑탐사대 13기 발대식 개최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4.14
작년부터 탐사대원으로 활동한 황준우(춘천 중앙초 4학년) 어린이는 "지난 12기 활동에선
민물
고기를 주로 탐사했는데 13기 활동에서는 조류를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13기 지구사랑탐사대는 국립공원공단,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국립수목원,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 ...
자연산
민물
고기 날로 먹지 말아야…심하면 담관암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하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연산
민물
고기는 반드시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하다”며 “감염이 의심되면 각 지역보건소에서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아 줄 것”을 당부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제33회 천체사진공모전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청계천 복원 전·후 담수어류 변화상 및 생태계 안정성을 분석하고 청계천에 서식하는
민물
고기, 시민 탐사 활동 등을 연말에 전시할 예정이다. 부대행사로는 청계천 내 청계아띠 현판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성인을 대상으로 ‘제62기 전통과학대학’을 3월 13일부터 6월 1 ... ...
中, 세계 최대 중성미자 검출기 8월 첫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1.27
의 후임격인 '하이퍼카미오칸데'는 2027년 완공될 예정이다. 러시아는 1998년부터 담수(
민물
)인 바이칼 호수 아래에 중성미자 검출기 '바이칼(Baikal) NT200'를 짓고 중성미자를 관측했다. 이후 2021년에 '바이칼-GVD'로 업그레이드됐다. 중성미자 검출에 물 대신 남극의 두껍고 투명한 얼음을 활용하는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때문에 인체 위해성이나 환경 문제를 걱정할 이유는 없다. 자연 상태의 바닷물이나
민물
에 들어있는 낮은 농도의 불소 이온(F-)에 의한 인체 위해성이나 생태계 교란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산업이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불소 화합물에 의한 오염의 경우에는 사정이 달라진다. 산업 현장에서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점점 심각해지는 기상이변, 탄소중립만으로 해결될까?
2022.07.06
40도에 가까운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벼가 자라는 논의 수온이 43도까지 치솟으면서
민물
가재가 빨갛게 익어버리는 황당한 일도 벌어졌다. 우리에게 기상 이변은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지난 30년 동안 걱정해왔던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이제 기상 이변과 극한 기상은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수질 오염과 물고기 집단 폐사
2022.06.22
몰래 무단 방류한 폐식용유 때문에 물고기들이 죽는 일이 있었다. 전국의 하천에서의
민물
고기 집단 폐사는 어제오늘에 시작된 일이 아니다. 1991년 낙동강의 페놀 유출 사건처럼 치명적인 유해 물질이 하천으로 흘러들어가서 발생하기도 있지만, 충분히 정화되지 않은 산업·축산 폐수 때문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관리 안하는 보호구역, 생물다양성 보전효과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7
않는 것이다. 한나 워초프 영국 엑서터대 생태및보존센터 연구원팀은 이달 5일 전 세계
민물
조류 보호구역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달 20일 온라인으로 선공개됐다. 연구팀은 전 세계 1506개 습지 조류 보호 구역을 조사해 전 세계 2만7055마리 물새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과학자들은 이 이유가
민물
고기가 성별을 바꾸기 더 어렵기 때문이라고 추측합니다.
민물
고기의 경우 알의 크기가 더 커서, 암컷과 수컷 사이의 해부학적 차이도 크다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쥐나 인간처럼 지상에서 사는 포유류들은 물고기나 산호처럼 체외 수정할 수 없습니다. 암컷 포유류의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활동 참여 기회 등을 얻는다”고 설명했어요. 조윤성 대원은 “12기 활동이 시작되면
민물
고기와 수생식물 교육에 꼭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12기 목표도 당연히 전종 수료이고, 관찰 기록도 더 많이 올리겠다”고 각오했답니다. Q.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만난 다른 대원들과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저서생물, 위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benthos’는 ‘바다의 깊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지요. 바다뿐 아니라
민물
의 바닥에 사는 생물도 모두 저서생물에 속합니다. 저서생물은 물속 바닥에 있는 암석이나 나무의 표면에 달라붙어 살거나, 모래처럼 부드러운 바닥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그 안을 기어다니며 삽니다. 뿌리로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깃대종/삼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6호
농도가 낮은 쪽인
민물
이 농도가 높은 쪽인 체내로 들어와 체액의 농도가 낮아지죠.
민물
고기는 물을 몸 밖으로 배출해 체액의 농도를 조절합니다. 반면, 바닷물고기는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체액보다 더 높아 몸속 수분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탈수 현상을 막기 위해 바닷물고기는 짠 바닷물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넓적이를찾아서 - 250215 - 14
탐사기록
l
20250215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탐조 중 촬영한 참수리(추정)입니다.참수리가 내려앉자 근처에 있던
민물
가마우지 떼가 참수리(추정)를 피해 강 반대편으로 도망갔습니다. 탐조 중 ... 큰부리까마귀 두 마리가 주변을 맴돌고 있었습니다.물고기 또는 다른 먹이를 먹고 있었습니다. 탐조 중 촬영한 청둥오리입니다.참수 ...
넓적이를찾아서 - 250215 - 13
탐사기록
l
20250215
탐조 중 촬영한
민물
가마우지입니다.매우 큰 무리가 함께 날아다녔고, 몇몇 개체들은 번식깃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넓적이를찾아서 - 250215 - 2
탐사기록
l
20250215
탐조 중 촬영한
민물
가마우지입니다.아직 번식깃을 가지고 있는 개체가 많았습니다. 탐조 중 촬영한 붉은부리갈매기입니다.숙면을 하고 있는 개체가 깨어있는 개체보다 많았습니다. 탐조 중 촬영한 물닭입니다.고방오리 무리 사이에서 먹이를 섭취하고 있었습니다. 탐조 중 촬영한 고니(추정)입니다.고방오리 무리 뒤편에서 먹이를 섭취하고 있었습니다. ...
넓적이를찾아서 - 250205 - 1
탐사기록
l
20250205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길을 가다 촬영한
민물
가마우지입니다.멀리서 찍어서 선명하게 찍히지는 않았습니다. ...
넓적이를찾아서 - 250130 - 2
탐사기록
l
20250130
탐조 중 발견한
민물
가마우지입니다.몇 마리씩 몰려다녔습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