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통"(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09
- 것으로 추정된다. 탐사선 이름은 ‘MX-1E(위 사진)’로 30kg 정도의 물체를 실을 수 있는 원통 모양 로봇이다. 등유(케로신)와 과산화수소를 연료로 쓰는 엔진을 역분사해서 서서히 달에 착륙할 계획이다. 그런 뒤엔 다시 연료를 써서 날아올라 500m를 이동할 예정이다. 이는 스페이스IL과 같은 전략이다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08
- 적절한 곳을 찾자 두 사람이 한 조로 땅에 50cm가 조금 넘는 길이의 파이프를 박아 넣었다. 원통을 반으로 자른 듯한 모양의 파이프를 넣고 한 바퀴 돌린 뒤 빼내자 짙은 갈색의 퇴적층이 마치 과일 속살처럼 파이프와 함께 빠져나왔다.임 책임연구원은 퇴적층을 5cm 간격으로 잘라서 준비해 둔 봉투에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07
- 고작 레이저포 한 발의 에너지가 부족하여 이와 같은 역경을 겪으시다니. 원통합니다! 원통합니다.”“치클, 그대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어찌 되었건 토착 생명체의 신체 순환을 조사하라. 고주파 진동 반사를 측정하고, 투과 뮤온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라.”치클은 지구인으로 보자면 눈물을 뚝뚝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06
- ”지구상에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그가 내민 재료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플라스틱 원통 안에 든 딱딱한 조각은 새로 개발한 인공 뼈였다. 물에둥둥 뜰 만큼 구멍이 많았는데, 강도는 기존 인공 뼈보다 높다고 했다. 책상 위에는 손바닥 만한 크기의 알루미늄 호일이 놓여 있었다. 그런데 그냥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05
- 자, 따라오실까요?”미나는 여울 소리와 함께 시청을 향해 걸었다. 도자기 모양의 원통형 유리 건물 디자인이 낯익었다. 그녀가 지금까지 본 한양 시청 중 열의 셋 정도가 저런 모양을 하고 있었다. 내부도 익숙할 것 같았고 들어가보니 정말 그랬다.여울 소리는 4층의 시간 관리부로 미나를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05
- 논문에서 “시금치 잎처럼 물관이 빽빽한 식물은 심장조직으로 활용하고, 봉선화 줄기의 원통형 구조는 동맥에, 단단한 나무 물관은 뼈 공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식물엔 콜라겐, 엘라스틴 없는데 제대로 기능할까 한계도 있다. 최근에는 장기마다 세포외기질의 구성과 역할이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있답니다. 1960년대 거대 굴착 장비인‘TBM’이 개발됐기 때문이에요.TBM은 터널을 뚫는 긴 원통 모양의 중장비예요. 1824년 영국 템스 강 아래에 터널을 만든 마크 브루넬이 목선바닥을 갉아먹는 ‘배좀벌레조개’를 보고 생각해냈지요. 배좀벌레조개는 몸을 보호해 줄 껍데기는 없지만, 톱니처럼 생긴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04
- 판단할 수 있다.연구팀이 나눈 7가지 건물의 형태는 ①기본적인 형태(직육면체, 원통 등) ②모서리가 변형된 형태(모서리가 둥글거나 톱니모양인 경우 등) ③건물이 기울여진 형태 ④상층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테이퍼드) 형태 ⑤나선형 ⑥건물 상층부가 뚫려있는 형태 그리고 마지막으로 ①~⑥번 ...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03
- 많은 액체가 담긴 탱크를 빠른 속도로 돌릴 수 있다. 연구팀은 지름 1m, 높이 1.37m의 원통형 쓰레기통을 구해 400L의 물과 미세입자를 넣은 뒤 1분당 75회까지 회전 속도를 높여서 실험했다. 이때 원심력에 의해 물의 표면이 포물선 모양으로 휘어졌다. 여기에 쓰레기통 바닥에 설치한 14개의 펌프로 물을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01
- 갈아 없앨 수 있는 네 개의 비트(톱날과 유사하다)를 달고, 파이프를 회전시켜 가운데 원통형 암석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는 갈아 없애는 기술을 쓴다. 강도가 약한 퇴적층이나 시추 깊이가 깊지 않을 때는 파이프를 유압으로 눌러 시추하기도 한다. 우리가 채취한 첫 번째 암석 샘플은 길이가 7.76m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