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통"(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12
- 빙하 속에 어떤 성분과 물질이 들어 있는지 연구하기 위해 빙하를 지름 약 10~20cm의 원통형으로 잘라서 연구해요. 이를 ‘빙하코어’라고 해요.빙하코어 속에는 꽝꽝 얼어붙은 아주 작은 기포가 들어있어요. 이 안에 산소와 수소는 물론, 온실기체, 화산재, 금속원소, 먼지 등이 들어있지요. 이런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12
- 또 다른 키워드는 ‘드로이드’라고 부르는 로봇들이다. 시리즈 첫 회부터 등장하는 원통 모양의 로봇 ‘R2-D2’와 휴머노이드 로봇 ‘C-3PO’는 고비마다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서로 티격태격하며 약방의 감초처럼 깨알 같은 재미를 선사한다.그런데 영화에서 나타난 두 로봇의 하드웨어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디킨슨 교수 연구팀은 원통 모양의 실험 상자 안에 초파리 40~50마리를 넣었어요. 그리고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지점을 지나면 그림자가 생기도록 실험 상자를 설계했어요. 초파리는 갑자기 생긴 그림자를 보면 포식자가 공격하는 것으로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11
- 그는 캐나다 서드버리 지역에 위치한 1.5km 깊이의 탄광을 개조한 뒤, 투명한 대형 아크릴 원통에 약 1000t의 중수를 채워 서드버리중성미자관측소(SNO)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곳에서 1999년부터 태양 중성미자 문제를 해결하는 실험을 했다.카미오칸데나 수퍼카미오칸데 실험에서는 태양 중성미자가 물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10
- 잠재력이 큰 하늘 위의 바람을 이용하기 위해 헬륨 비행선을 개발했다. 지름 15m의 거대한 원통형 비행선으로, 바람이 통과할 수 있게 뚫린 안쪽 면에는 날개가 3개인 발전기가 달려 있다. 300~600m 상공에 뜬 채로 전력을 생산해 지상국으로 송전한다. 비행선 바깥 면에는 공기역학적으로 설계된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09
- 지역이 가장 정확하게 그려진다. 우리나라처럼 남북으로 긴 나라의 지도를 그릴 때는 원통을 눕혀서 투영하는 게 유리하다. 좌우로 넓은 북반구 대륙의 지도는 종이를 고깔 모양으로 말아 지구에 씌워 투영하는 방법으로 만든다.지구를 평면에 투영하면 땅의 모양은 물론 땅의 넓이, 두 점 사이의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09
- 실험했다. 액체를 채운 원통형 용기에 원판을 넣고 전동기로 회전시키자, 회전수에 따라 원통형에 들어있는 액체 표면에 삼각형부터 육각형까지 다양한 다각형 모양이 만들어졌다. 토성의 북극도 이와 유사한 구조로 돼 있을 확률이 높다.토성에서는 아름다운 오로라도 감상할 수 있다. 오로라는 ...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수학동아 l201508
- 잘 견디는지를 관찰했습니다.그 결과, 제 꼬리 같은 직육면체 모양의 꼬리가 구조 상 원통 모양의 꼬리보다 강도가 높아 외부 손상으로부터 더 안전하고, 물건을 들어 올리는 힘도 더 세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아마 제가 직접 실험에 참여했더라면, 전 지금 인터뷰를 할 수 없었겠지요 ... ...
- 해마 꼬리가 사각인 이유 있었네과학동아 l201508
- 힘을 가했을 때, 직육면체 구조물은 단면적이 30% 가량 줄어들 때까지 버틴 반면, 원통형 구조물은 10% 밖에 버티지 못했다. 직육면체 구조물이 변형에 더 잘 견딘다는 의미다. 포터 교수는 “원에 비해 꼭지점이 적은 정사각형이 더 쉽게 접힌다”며 “현재 개발하고 있는 로봇에 해마 꼬리의 원리를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6
- 설계, 쉽게 고장 날 위험 등을 무릅쓰고 각 다리에 관절 하나씩을 추가했다. 다리 외피도 원통형이 아닌, 복잡한 3차원 곡면으로 만들었다. 그야말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특화된 로봇이다. 실제로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