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통
실린더
억울
분
통분
애상
원기둥
뉴스
포스텍, 70년 만에 새로운 열전 설계 원리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₂Te₃)를 이용해 다양한 단면을 가진 소자를 제작해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기존 단순
원통
형 구조와 비교했을 때 출력은 최대 422%, 효율은 최대 466% 향상됐다. 소자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는 오히려 67% 줄었다. 특히 이론 계산값과 실험 결과가 거의 정확히 일치했다. 연구팀은 "이는 이번에 ... ...
남극 빙하서 깨어난 미생물, 인체에 붙어 적혈구 파괴
동아사이언스
l
2025.08.27
극지연구소가 남극에서 처음으로 자체 확보한 총 길이 210m의 시료다. 빙하코어는 빙하를
원통
형으로 시추해 채취한 것으로 각 층에는 형성 당시의 기후와 생물 정보가 보존돼 있다. 약 2000년 전 환경을 연구할 수 있는 시료다. 연구팀은 스틱스 빙하코어를 살펴 520년에서 1980년 사이 형성된 ... ...
8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김철환·소남호…냉동공조·대중교통 고도화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적고 효율이 좋아서 고성능 제품이 많이 쓰인다. 로타리 컴프레서는 내부에 회전하는
원통
모양의 부품을 통해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구조가 비교적 간단해 제작 비용이 낮고 소형 제품이 많이 쓰인다. 또 친환경 자연 냉매(Propane)를 적용한 히팅 컴프레서도 개발해 영하 30도의 극한의 ... ...
높이 93.7m 인류 최대 지하공동 굴착…日 중성미자 검출기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기후현 히다시 지하 600m에 건설 중이다. 굴착이 완료된 지하 공동은 높이 72.9m, 지름 69m의
원통
형 공간 위에 20.8m의 돔형 공간이 합쳐진 형태다. 지하에 굴착된 인공 공간 중 역사상 가장 큰 규모다. 굴착 과정에서 얻은 지질 정보를 활용해 동굴 벽체 보강을 병행했다. 이번 달부터 지하 공동을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UNIST, 성능 높이는 '
원통
형 배터리 설계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연구원.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정경민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원통
형 배터리 전극의 곡률이 전기화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고려한 최적화된 전극 설계를 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극의 양면 두께를 각각 조정하는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 음극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기월식 달빛에 담긴 화산 폭발의 흔적
2023.04.19
수 있는 증거가 있는데, 그린란드나 남극의 빙상코어(ice core)로, 빙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원통
을 박아 꺼낸 얼음 기둥에서 얻는 황의 농도 데이터다. 초대형 화산 폭발이 일어났을 경우 분출된 이산화황이 극지방까지 이르러 얼음에 포함된다. 얼음 기둥이 가래떡이라면 썬 조각들 가운데 황 농도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제시했다. 숫자 표의 숫자를 시공간 좌표로 보고, 마치 종이를 말아서 양 끝이 이어진
원통
형으로 만들듯 시공간의 경계를 연결하고 반복시키는 진술이라고 해석했다. 또 '건축무한육면각체'의 시공간적 배경을 설정하는 시라고 봤다. 이번 연구를 담은 논문은 이상문학회가 발행하는 '이상리뷰' 1 ... ...
[우주산업 리포트] (마지막회) 한국 우주산업 경쟁력 높이려면
2022.08.26
있다. ③ 우주교육 강화 인하대병원 우주항공의학센터에 마련된 고중력 장비.
원통
형 모터 주위로 케이지 두 대가 기울어진 채 등속도로 회전한다. 케이지에 든 동물은 기울어진 면을 바닥으로 인지하고 고중력 상태를 느낀다. 인하대병원 제공 앞서 언급한 창의적 아이디어와 인적 구성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설치하고 있습니다. 글로위는 2022년부터 도심 주변 강변에 은은한 푸른빛을 뿜어내는
원통
형 튜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어요. 글로위의 생물발광 조명은 프랑스 앞바다에서 채취한 심해 세균 알리비브리오 피셰리를 바닷물과 함께 조명에 넣고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 발광을 유도하며 빛을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검출기 위쪽만 물로 막았다면, LSC는 검출기 주변 사방을 물로 채워 신호 잡음을 막는
원통
형 검출기다. 소 책임기술원은 “2025년 초쯤 실험을 위한 연구계획서를 완성하고 심사를 받아 승인되면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 시간 반가량 진행된 지하실험실 투어를 마치고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그리고 수중마이크를 이용해 이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고, 카메라로 물이 떨어질 때
원통
내부의 거품과 유체의 흐름을 촬영했다. 그 결과, 물 속으로 떨어지는 물줄기가 갈라질수록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더 크다는 사실을 밝혔다. 물소리는 물줄기가 가늘수록 더 컸다. 연구팀은 물을 따를 때 ... ...
움직이는 만화, 애니메이션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연결되면서 영상처럼 보이는 거예요. 지금은 과학 기술이 발전해서, 원판이나
원통
을 돌리지 않고도 그림이 실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 수 있어요. 바로 컴퓨터 그래픽(CG) 덕분이지요. 그런데, CG를 활용할 때도 수학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예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서울 에코롱롱타워를 다녀온 후
기사
l
20250822
바로 건물 만들기이다. 단열재로 집을 따뜻하게 할 수 있고 시원하게 할 수 있는 건물이었다. 헤드 나사로 바닥을 연결한 뒤 긴
원통
모양 열매를 끼워 한층 한층 쌓아 올렸다. 그리고 단열재 중 우주복으로 쓰이는 소재로 어떤 게 잘 맞는지 등도 알아보았다. 다시 타워로 돌아와 인사를 하고 끝났다. 굿즈도 받았다. 정말 친환경 소재에 대해서 많이 ...
로봇 이야기 1편- 산업용 로봇
기사
l
20250720
:3개의 직교 좌표축 (X, Y, Z)을 따라 움직이며, 고정된 공간에서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적합합니다. 2.
원통
형 로봇 (Cylindrical Robot):
원통
형 좌표계를 기반으로 움직이며, 주로 좁은 공간에서 부품 조립이나 이송 작업에 사용됩니다. 3. 구형 로봇 (Spherical Robot):구형 좌표계를 기반으로 ...
광주과학기술원에 다녀오다
기사
l
20250713
로켓 엔진의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추진은 엔진에서 발생한 추력을 이용하여 로캣이 위로 상승하는 과정입니다. 대부분 로켓엔진은
원통
형, 노즐은 총 모양이죠. 연소실에서 생성된 고온•고압의 기체가 노즐에서 분출하며 추력이 발생합니다. 그럼 지상시스템 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첫번째로는 미션계획 수립입니다. 발사 목표를 설정하고 비행경로를 ...
드넓은 하늘로 도약하는 기업, 한국항공우주산업
기사
l
20250705
있었습니다. 우주는 온도의 변화가 매우 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공위성이 우주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지 시험해 보았습니다. 이
원통
의 이름은 궤도환경 실험실 입니다. 줄여서 '쳄버'라고 합니다. 이 쳄버는 인공위성을 쳄버 안에 넣고 진공으로 만들어 온도를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이 쳄버는 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큰 쳄버입니다(1등은 kari에 ...
거대한 삼나무, 일본 원숭이, 사슴과 바다거북의 산란을 모두를 볼 수 있는 섬 아시나요? [야쿠시마 탐사대 이야기]
기사
l
20250602
중국 쪽에 머물며 삼사년에 한 번씩 80세 정도까지 산란을 한다. 산란을 할 때는 상륙을 해서 구멍을 먼저 파는데 60cm 정도의 깊이로
원통
형 구멍을 판다. 이때는 거북이 예민해서 관찰은 할 수 없다. 그런 다음 거북은 알을 낳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관찰이 가능하다. 거북은 탁구공 같은 알 약 120개를 모두 낳은 뒤 구멍을 모래로 덮고 2~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