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통"(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06
- ’라고 부르는 이 시설에서는 두 개의 무거운 중이온을 충돌시킨 뒤 지름이 2m에 이르는 원통형 검출기를 이용해서 충돌로부터 나오는 입자들의 물리량을 측정한다. 이를 이용하면 중성자별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김상철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05
- 수온 수심 측정기(CTD)’도 4월 초 동해 시험 운항에서 작동을 시작했다. CTD는 부피가 12L인 원통 36개가 연결된 해수 채집기다. 36곳의 해수를 지점별로 채취해 전기전도도, 염분, 수심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다. 피코그램(1조 분의 1g)의 미량 원소까지 분석할 수 있어서 북한의 핵실험 이후 해수가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05
- 타서 눌어붙을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오래 끓여서도 안 된다.이렇게 만들어진 초파리 밥을 원통형 플라스틱 병에 옮겨 담으면 초파리 집이 완성된다. 한천이 금방 굳기 때문에 재빨리 옮겨야 하는데, 여기서 전문가의 ‘스킬’이 등장한다. 유 연구원이 호스가 달린 고무물통을 잡고 날렵하게 직직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01
- 듀폰은 북극곰의 털을 모방한 충전재를 개발했다. 내부에 공기 층이 생기도록 속이 빈 원통 형태의 원사를 엮어 만들었다. 공기 층은 열전도도가 낮아 내부 온도를 계속 유지시킨다. 솜털 모양이 아닌 3~4층 구조의 충전재와,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열에너지로 활용하는 충전재도 개발됐다. 박윤철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01
- 그 신호를 잡아내면 액시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연구단은 구리로 속이 빈 원통형 구조물(마이크로파 공진기)을 만든 뒤 그 밖을 초전도 자석으로 둘러싸고, 온도를 영하273.1℃(50mK)까지 낮춰주는 냉동기에 넣는 방식으로 검출기를 만들고 있다. 정우현 연구위원은 “공진기 안에 넣은 ... ...
- 지렁이 소화 능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17
- 네 입은 이쪽이니, 저쪽이니? 구분하기가 너무 어려워~.제 몸은 보시다시피 길쭉한 원통 모양이에요. 고리 모양이 여러 마디 모여 있다고 해서 ‘환형(環形)동물’이라고 하지요. 얼핏 보면 몸 전체가 똑같이 생긴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유난히 색깔이 연하고 도드라지는 부분이 있어요. 이 부분이 ... ...
- 어린이 눈높이에서 수돗물이 콸콸!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16
- 생긴 원통을 돌리면 호스가 휘어지도록 만들었지요. 키가 작은 어린이가 이 요요 모양 원통을 앞쪽으로 돌리면 조금 더 낮은 곳으로 물이 흘러나오는 거예요. 신군은 이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새벽 1~2시까지 선생님과 함께 고민하다가 집에 돌아가서도 여러 자료를 찾아오는 등 열심히 노력했답니다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재는 측우기로 강수량을 측정했어요. 현재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입구의 지름이 20cm인 원통 모양의 강수량계를 이용해요. 측우기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고 측정했다면, 요즘에는 무게와 부피를 이용해 자동으로 강수량이 측정된답니다.颱風 태풍 (태풍 태, 바람 풍 ... ...
- 눈감고도 먹이 찾는 바다표범의 비밀은 ‘사인곡선 수염’과학동아 l201512
- 실험 결과 수염 모형은 원통이 만들어낸 파형과 정확히 같은 진동수로 진동했다. 또한 원통의 진동수가 바뀌면 수염 모형의 진동수도 동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물범은 이것으로 먹잇감의 이동경로뿐 아니라 크기와 모양까지 알아낼 수 있다.빔 연구원은 “참물범 수염의 미세구조가 사인곡선 ... ...
- [Knowledge] 백제시대엔 철 어떻게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512
- 충주 대화리 2호 복원 예비실험의 경우, 지름이 의자 바닥 정도인 60cm에 높이가 210cm인 원통 기둥을 점토로 세워 제철로를 만들었습니다.여기에 165kg의 숯을 넣어 태운 뒤 국내 3대 철 생산지 중 한 곳인 강원도 양양에서 난 철광석과 목탄을 1:2의 비율로 나눠서 투입합니다. 기계를 이용해 바람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