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스페셜
"
은하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영재들, 천문 및 천체물리 국제경시대회서 메달 9개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측정을 위한 사고실험 문제 등이 출제됐다. 자료분석시험은 관측 자료를 토대로
은하
핵 중심의 거대질량 블랙홀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거나 소행성의 궤도, 초고속별의 기원 등을 찾는 문제 등이 출제됐다. 관측시험은 야외 관측 대신 천체사진과 성도를 주고 분석하는 문제들이 주어졌다. ... ...
우리
은하
에서 지구만한 ‘나홀로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이번에 발견한 나홀로 행성은 지구 질량의 약 0.3배이며 우리
은하
원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발견에는 한국천문연구원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의 관측 자료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제천문연맹(IAU)의 행정 정의에 따르면 행성은 태양 주위를 ...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생성 및 진화를 동시에 정밀하게 기술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라며 “우주론과
은하
및
은하
단의 기원을 밝히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오경 KISTI 슈퍼컴퓨팅응용센터 책임연구원은 “이번 거대 규모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에 수행할 수 없었던 어려운 문제를 풀 수 ... ...
블랙홀 빨려든 별, 국수처럼 늘어났다가 초속 1만km로 흩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남반구의 별자리 에리다누스 중간에 위치한다. ESO 제공 연구 결과 이 섬광이 관측된
은하
중심부에는 태양이 100만 배 모인 것과 같은 질량의 초대질량블랙홀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주위를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지닌 AT2019qiz라는 별이 돌고 있다 결국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면서 강력한 ... ...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10.08
못한 암흑물질의 알려지지 않은 특성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메네게티 연구원은 “
은하
단은 우주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연구실과 같다”며 “이번 연구는 암흑물질에 대해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무언가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11일자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우리
은하
중심의 별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타임랩스 동영상이다. 출처 ESO/MPE 우리
은하
중심의 별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타임랩스 동영상이다. 박수종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 ※필자소개 경희대 우주과학과에서 연구를 하고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 ...
노벨물리학상 4번째 여성 수상자…"젊은 여성 과학으로 오길"
연합뉴스
l
2020.10.07
무거운 초대질량 밀집성(supermassive compact object. 백색왜성, 블랙홀, 중성자별)이 우리
은하
의 중심에 있는 별들의 궤도를 지배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수상 배경을 설명했다.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지역에 태양질량 400만 배의 질량을 가진다는 결론으로 이어진 것이다. 미래에는 우리
은하
의 중심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으리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는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의 노력을 통해 지구로부터 5500만 광년 떨어진 M87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EHT 연구팀의 ... ...
아직 한번도 안받았나? 블랙홀, 노벨상 수상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간섭계 등 최신 관측장비를 동원해 우주먼지와 가스구름에 가려 관측이 쉽지 않았던 먼
은하
중심의 블랙홀 주변을 정밀하게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블랙홀의 중력장 효과를 확인해 국제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에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이 다시 ... ...
노벨상 놓친 호킹 박사 절친 펜로즈 등 블랙홀 연구자 3인 노벨물리학상(재종합)
2020.10.06
있음을 증명한 것으로 이는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한 가장 결정적인 증거”라며 “우리
은하
에도 작은 AGN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업적과 당시만 해도 실제로 관측이 안됐던 블랙홀 존재의 가장 확실한 관측 조건을 밝힌 업적”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까지 최근에 우주 분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