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스페셜
"
은하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이 중성자별 먹어치웠다…블랙홀과 중성자별 충돌로 생긴 중력파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모습을 나타낸 상상도. Carl Knox, OzGrav / Swinburne 제공 지구에서 약 9억 광년 떨어진
은하
에서 블랙홀이 중성자별 두 개를 먹어치우는 장면이 처음 포착됐다. 그간 블랙홀끼리 충돌하거나 중성자별끼리 합쳐진 경우는 관측됐지만, 블랙홀과 중성자별이 충돌해 합병하는 과정이 확인된 건 이번이 ... ...
인류문명 등장 이후의 지구를 본 별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은하
관측 위성 ‘가이아’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우리
은하
내 항성 목록 ‘EDR3’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별을 찾아냈다. EDR3에 등록된 항성은 18억 개, 이 중 지구에서 326광년 이내에 있는 별은 33만1312개로 추산된다. 연구팀은 다시 이 중에서 5000년 전부터 5000년 ... ...
겨울철 밝은 별 베텔게우스가 한때 빛 잃은 이유, 먼지구름 때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것을 알게 됐다”고 마했다. 초신성 폭발은 수십년에 한번 나타나는 우주쇼다. 우리
은하
에서 일어난 마지막 초신성은 1604년 일어난 케플러 초신성이다. 케플러 초신성은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이 있다. 다만 베텔게우스가 언제 폭발할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지구 어디서나 ... ...
한국 기술 포함된 우주 적외선 카메라 NASA 로켓 타고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K 이하를 조사하는 데 유리하다. 과학자들은 CIBER-2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으로
은하
와
은하
사이 존재한다고 여겨지는 떠돌이 왜성 분포와 양에 대해 연구하면 우주진화 모델 연구에 중요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천문연은 “이번 관측 결과 분석과 후속 연구도 참여할 예정”며 ... ...
AI로 제작한 우리
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며 “이번에 활용한 딥러닝 기술을 통해 향후 우리
은하
주변뿐 아니라 더 확장된 우주 거대 구조에 대한 상세 지도를 얻는다면 현대 천문학의 난제인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힐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인공지능이 우리
은하
둘러싼 우주 속 암흑물질 지도 그렸다
연합뉴스
l
2021.05.27
상세하게 보기 어려웠다"며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은하
정보의 확률적 통계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암흑 물질 정체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전날 자에 실렸다. ... ...
나선팔 구조 최고(最古)
은하
124억광년 떨어진 곳서 찾아내
연합뉴스
l
2021.05.23
추적하는 것은 태양계가 태어난 환경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이라면서 "이번 연구가
은하
형성 역사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반별이 있을까
2021.05.11
없더라도. 우주에는 1000억 개가 넘는
은하
가 존재한다. 이 가운데 반물질로 이뤄진 반
은하
도 존재할지 모른다. 그러나 빛이나 중력파 같은 관측 데이터로는 물질 천체와 반물질 천체를 구분할 수 없다. NASA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
2021.04.29
만유인력의 법칙만 해도 태양계 정도의 규모에서는 그 정확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지만,
은하
이상의 거대규모나 분자 수준의 아주 미시적인 세계에까지 정확하게 작동하는지는 별개의 문제이다. 실제로 학계에서는 ‘수정 뉴턴 동역학(MOND)’이론을 도입해 우주에서의 각종 현상을 설명하려는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전파로 본 우주' 시범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간략 소개, 전파망원경의 구동 시연, 중성수소에서 전파가 나오는 원리 설명, 우리
은하
나선팔의 중성수소 관측 및 분석자료 설명 등으로 구성되며 5월부터 매일 3회 운영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27일 나우사회혁신네트워크와 비대면으로 ‘제5회 리빙랩과젠더포럼’을 개최했다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