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스페셜
"
은하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의 존재 입증한 펜로즈·겐첼·게즈…올해 노벨물리학상(종합)
2020.10.06
선정 이유를 밝혔다. 겐첼 소장의 제자인 박수종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는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별을 관측해 내부에 블랙홀이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했다”며 “이는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한 가장 결정적인 증거”라고 설명했다. 올해 수상자에는 여성 물리학자인 게즈 교수가 포함된 ... ...
노벨물리학상에 블랙홀의 신비 벗겨낸 천문물리학자 3명...女수상자 역대 4번째(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연구 중 가장 중요한 연구로 꼽힌다. 라인하르트 겐첼 소장과 앤드리아 게즈 교수는 우리
은하
중심 궁수자리A 에서 태양 질량의 400만 배 정도 되는 초대형 블랙홀이 있다는 증거를 찾아낸 업적을 갖고 있다. 올해 노벨상 발표는 5일 생리의학상 발표와 6일 물리학상 발표에 이어 12일까지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논문 피인용 우수연구자’ 가운데에서 우주 분야는 암흑물질 헤일로 관련 연구를 통해
은하
탄생과 진화를 밝힌 분야가 있다. 소재 및 고체 물리 분야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질화붕소나노튜브 분야, 그래핀 등 2차원 나노소재의 물성 연구 분야가 꼽혔다. 이론 분야에서는 원자 결합 에너지와 ... ...
격렬하게 떨리는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구성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은 2009년에서 2013년 사이 촬영된 처녀자리
은하
중심에 있는 M87 블랙홀의 영상을 재구성한 연구결과를 이달 23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지난해 4월 공개된 블랙홀의 첫 사진은 2017년에 4월 중 1주일간 촬영된 영상이다. 블랙홀은 별 등이 ... ...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논문 인용 최상위 0.01% 연구자에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전장유전체연관분석(GWAS)에 기여한 일본 연구자, 카오스 연구에 기여한 미국 물리학자,
은하
구조의 핵심인 암흑물질 헤일로를 연구한 영국 및 캐나다, 독일 연구자, 자기조립 기반의 초분자화학을 개척한 일본 화학자, 성별 임금 격차 등 노동경제학에 헌신한 미국 경제학자 등이 선정됐다. ... ...
[화보+]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선정 올해의 천문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제공 영국 사진작가 줄리 힐은 이미지 혁신 부문에서 수상했다.
은하
계 전체를 나타내는 조각품을 촬영했다. 칠레에 있는 파나랄 천문대에서 촬영한 이미지들을 이용했다. 약 8400만 개의 별이 작품 속에 들어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벤스 토스/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반구를 수놓는 마젤란
은하
의 수수께끼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2
계류의 형성 메커니즘을 설명한 것”이라며 “마젤란 계류가 길게 펼쳐진 과정과 마젤란
은하
에서 별이 보이지 않는 이유 등을 기존 연구보다 더 명확하게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한 생명과학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발견으로 이끈 암흑물질 모델을 만들어 단독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페르미 버블은 우리
은하
중심에 위치한, 길이가 5만 광년에 이르는 거대한 구조로 X선과 감마선을 방출하고 있으며 천체물리학자들에게는 그 성질이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미스터리로 꼽힌다. 미국 페르미연구소에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수십만 배 이상의 질량을 갖는 ‘초대질량 블랙홀’보다는 작은 블랙홀이다. 그동안
은하
중심부 관측 등을 통해 중간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확인한 적은 있지만, 직접 관측을 통해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 일원인 김정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 ...
"안드로메다
은하
둘러싼 가스 우리
은하
와 이미 충돌 중"
연합뉴스
l
2020.09.01
통해 우리
은하
의 상황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레너 교수는 "안드로메다
은하
가 가까이 있어 1~2개 아닌 40여개의 퀘이사로 헤일로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결과는 유일무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