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뉴스
"
밀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복제하는 튼튼한 곡물' 나올까...유전자 변형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것이라 추측한다. 문제는 잡종 품종 개발이 어려운 곡물이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밀
과 콩이 잡종 교배를 통해 튼튼한 품종을 만들고 이를 대량 생산하는 것이 어려운 곡물에 해당한다. 잡종 품종 개발이 가능하더라도 품종을 생산하고 재배하는 과정에서 수확량 증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그 결과 균주 이름이 Weihenstephan 34/70(줄여서 W34/70)으로 바뀌었다. 바이엔슈테판은
밀
맥주가 워낙 유명해 라거맥주의 균주 분석이 늦었던 것 같다. 언제 기회가 된다면 맥주를 테마로 바이에른주를 여행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주변물질 빨아들이며 만들어지는 '블랙홀 부착원반'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국제 공동연구팀이 국제
밀
리미터 초장기선 간섭계와 칠레 아타카마
밀
리미터/서브
밀
리미터 전파 간섭계 등을 활용해 M87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을 관측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7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블랙홀 관측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물리 현상들을 발견한 ... ...
"2형 당뇨 10명 중 7명은 ‘불량식단’이 원인...쌀·
밀
·가공육 섭취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4.18
제2형 당뇨병 예방에 좋은 복합당은 통곡물로 섭취할 수 있으며 단순당은 주로 쌀과
밀
에 함유됐다. 단순당을 섭취하는 식습관이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실제 이 세 가지 식단을 선호하는 국가에선 식습관에 따른 제2형 당뇨병 발병률이 높았다. 가공육을 즐겨 먹는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근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라는 뉴스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이러한 소식은 단순히 꿀벌이 우리에게 선사하 ... 산림경영 모델이다.
밀
원자원의 다기능성을 바탕으로 산림의 가치를 더욱 확대하면서
밀
원숲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해본다 ... ...
"비료 쓰지 않고 쌀 생산 늘린다...농업 탈탄소화 해결책은 생명공학"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화학적 언어를 개발해 공생 관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보이트 교수팀은 옥수수나
밀
과 같은 곡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미생물도 발굴했다. 보이트 교수는 “현재 미국에서는 옥수수 등에 미생물 제품이 쓰이고 있다”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한편 옥수수나 쌀 같은 주요 작물의 ... ...
[씨즈더퓨처] 아들과 딸 골라 낳을 수 있다면
2023.04.09
어떤 용액을 쓰느냐에 따라 퍼콜, 피콜, 또는 알부민 용액 실험 등으로 불리며 흔히 ‘
밀
도구배원심분리’라고 불린다. 이 방법은 동물의 정자 실험에 주로 쓰였는데, 용액에 따라 확률이 60%대에 그치기도 하고 배아의 성비에까지 영향을 주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 아들, 딸을 골라 ... ...
바이오제약사 '우주 러시' 이유 있다...우주의학 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신약 개발에 필수 과정이다. 지구에서는 중력에 따른
밀
도 차이로 불균일한 결정이 생긴다. 반면 중력이 거의 '0'에 가까운 '미세중력' 환경의 우주공간에서는 고른 결정을 얻을 수 있다. 단백질 분석 전문가인 이영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미세중력 ... ...
100% 실리콘 전극 사용한 전고체전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의미다. 실리콘 웨이퍼는 부피당
밀
도가 가장 높은 구조로 전지의 고에너지
밀
도 달성에 유리하다. 실제 연구팀은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 전지보다 면적 용량이 약 2~3배로 큰 전고체전지를 구현했다. 상온에서 100회 안정적 충방전에도 성공했다. 임 교수는 “실리콘 웨이퍼 기반 전고체전지는 ... ...
[오늘과학] 식물도 스트레스 받으면 '울음소리'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연구 결과를 3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선 토마토·
밀
·옥수수·선인장·광대나물 등이 발산하는 소리가 처음으로 녹음됐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에서는 식물에 부착된 진동계에 일정한 진동이 기록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녹음할 수 있을 정도의 소리인지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