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교배"(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고생대로 올라가지만, 최근에도 여러 변화가 있었다. 최근에도 여러 종의 인류가 서로 교배하며 면역능력을 서로 교환했을 가능성이 있다. 아주 오래전 인류에 대해서는 알 도리가 없지만,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반인이라면 유전자를 제법 많이 알고 있다. 그런데 다른 유전자와 함께, 인간 백혈구 ... ...
- 한국의 밥맛이 좋은 이유는?동아사이언스 l2019.12.23
- 아니라 비번역 RNA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른 품종의 벼나 야생 벼와의 교배를 통해 특정 유전자를 가진 신품종을 만들 수도 있다.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야생 벼의 병충해저항성 유전자(Bph18)를 가진 ‘안미’,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qBK1)를 가진 ‘안평’ 벼를 개발했다. 2001년 ...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2019.12.21
- 혼자 살아서 무리를 지어 키우기가 힘듭니다. 야행성이라 인간의 생활 리듬과 맞지 않고, 교배를 시키기도 어렵습니다. 고양이가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됐을지 놀랍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생물학자인 칼로스 드리스컬은 약 10년 동안 전 세계의 고양이 유전자를 수집했습니다. 그 결과 모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2019.12.03
- 여러 특성도 발현돼 기존 품종의 정체성을 잃는다. 그런데 1대 잡종에 재배 품종을 교배해 원하는 특성을 지닌 개체를 선별하면 게놈의 4분의 3이 재배 품종의 것인 개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세대를 거칠 때마다 도입된 품종의 게놈이 절반씩 희석되므로 6세대에서는 1%대(1/64)가 되고 ... ...
- 실험동물 대안 제브라피쉬로 환경호르몬 뇌신경 교란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9.11.19
- 인간 유전자와 90% 이상 비슷한 담수어로 성체 크기가 3~4cm 정도로 작은데다 한번의 교배로 수백 마리의 개체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며 “제브라피쉬 치어를 이용한 실험이 설치류 동물실험과 비교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동물실험 윤리문제에서도 자유롭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 ...
- 수산자원공단, 최고급 횟감 '자바리' 유전자 마커 특허출원연합뉴스 l2019.11.13
- 마커를 특허출원 했다고 12일 밝혔다. FIRA는 자바리 어미 후보군 개체 이력 관리와 교배지침 작성 등 유전적 다양성 분석에 사용되는 유전자 마커 24개를 개발했다. FIRA는 그동안 '수산 종자 자원관리' 사업에 따라 제주해양수산연구원과 협약을 맺고, 2018년부터 자바리의 종자 생산용 어미의 ... ...
- [애니멀리포트]개의 초롱초롱한 눈빛은 인간과 소통 위한 진화의 결과 과학동아 l2019.09.21
- 상대적으로 적은 수가 태어나고, 계속해서 갈색 품종을 유지하기 위해 좁은 범위에서 교배가 이뤄진다. 그렇다고 털 색깔을 결정하는 요인이 유전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끔 종에 상관없이 흰 양말을 신은 듯 발끝이 하얀 개가 있다. 이는 배아 발생 과정에서 멜라닌 세포가 신체 말단까지 도달하지 ... ...
- 멸종 데니소바인에게서 받은 유전자가 면역력 강화연합뉴스 l2019.09.20
- 나와 화석 인류인 데니소바인들과 통혼했다는 것은 기정사실이 돼 있다. 이런 이종교배의 결과는 현대인의 유전자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이 중에는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하는 유전자도 포함돼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가반의학연구소(GIMR)에 따르면 이 연구소의 ...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다윈이 살던 빅토리아 여왕 시대 영국에서는 자신만의 비둘기를 교배해 기르는 것이 유행이었다. 그 후 다윈은 “인간이 체계적인 선택과 무의식적인 선택의 방법을 통해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실제로도 그랬다면, 하물며 자연이 그리하지 못할 이유가 어디 ... ...
- 다운증후군 지적 장애 유발하는 유전적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회복되는 것을 보였다. 연구팀은 DSCR1 유전자가 1.5배인 쥐와 DSCR1 유전자만 제거한 쥐를 교배해 다른 유전자는 모두 같고 DSCR1 유전자만 정상 수치로 복원한 쥐를 만들었다. 다운증후군 모델 쥐는 성체 신경발생으로 만들어진 세포수가 정상 쥐의 절반 수준이었으나 복원된 쥐는 정상 수준을 회복했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