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교배"(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읽어주는 언니] 키 크는 유전자동아사이언스 l2018.11.22
- 이해가 쉽다. 개는 유전자 몇 개만 조작해도 덩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인간의 의도적인 교배로 개의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반면 인간은 키를 결정하는 후보로 알려진 유전자로도 유전 영향의 20~30%밖에 설명할 수 없다. 나머지 영향력이 유전자의 어디서 나오는지는 아직 ...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2018.11.17
- 알 수 있다는 얘기다. 이런 형질들은 모두 유전력이 낮다. 하지만 핫스팟을 알고 있으면 교배와 재조합 과정을 통해 관련된 유전자를 개체에 집적할 수 있다. 스파게티나 마카로니를 만드는 밀은 빵이나 면류에 쓰이는 보통밀이 아니라 ‘듀럼밀’이다. 듀럼밀은 보통밀과 품종이 완전히 다르고, ... ...
-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과학동아 l2018.11.09
- 유전자가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다. 에너드 교수는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 간 이종교배는 선사시대 전반에 걸쳐 여러 지역에 서 수 차례 일어났으며, 매번 서로 다른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유전자가 전달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연구 결과는 ‘셀’ 10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l.2018.08 ... ...
- 동성 쥐 사이에서 건강한 새끼 태어났다동아사이언스 l2018.10.12
- 中연구진, 포유류 단성생식 첫 성공 DNA 반만 지닌 생식세포 만든후 ‘각인유전자’ 제거, 대리모 난자에 주입 210개 배아서 29마리 새끼 출 ... “이 방법을 이용하면 새로운 유전적 특징(형질)을 지닌 실험동물을 교배 없이 빠르게 만들 수 있어 생명공학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침몰하는 뱃머리와 아파트값2018.09.30
- 없는 현상이라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집단의 수명이 개체의 수명보다 짧거나 집단 간의 교배가 완전 차단되는 등 비현실적인 조건이 성립해야만 집단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나그네쥐는 종종 집단으로 바다에 뛰어들어 죽는데, 집단 전체를 위해 이타적 자살을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 ...
- [표지로 읽는 과학]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12만년 전 피를 섞다동아사이언스 l2018.09.08
- “두 종의 유전자가 약 40%씩 나온 것을 볼 때 직계 또는 그 바로 윗대에서 두 종간의 교배가 이뤄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또 이소녀의 어머니는 약 12만 년 전 먼 서유럽에서 온 네안데르탈인의 후손이며, 아버지 역시 먼 조상 중에도 네안데르탈인이 최소 한 명 이상 있는 ‘혼혈’ ...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파란색은 네안데르탈인, 빨간색은 데니소바인, 노란색은 현생인류다. 이번에 이종교배가 확인된 개체는 빨강과 파랑이 반씩 섞여 있다. 유전자에 일부 다른 종의 유전자가 포함된 경우는 점이 찍혀 있다. - 사진 제공 ... ...
- 별미 북경오리, 유달리 크고 흰 이유 유전자 때문이었네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확인했다. 조우 박사는 “14세기 명나라 왕조 때부터 고기 생산성을 높이기위해 인공 교배를 했으리라 추정된다”며 “이 연구 결과를 중요 식량자원인 가금류의 경제성을 높이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방법이 없다. 코알라의 개체수가 크게 줄어든 것도 문제지만 서식지 단절로 인한 근친교배도 심각하다. 특히 호주 남부의 코알라가 더 심해 고환이 비정상인 개체가 태어나고 있다. 따라서 유전자 다양성이 큰 북부 코알라를 데려와 유전자를 풍부하게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 다만 이주할 개체를 ... ...
- [여기에 과학] 마약 잡고 실종자 찾는 체취견, 냄새 얼마나 잘 맡길래동아사이언스 l2018.06.29
- 우수한 형질을 가진 복제견을 훈련시키면 시험 통과 비율은 80%로, 일반 교배견에 비해 2배 이상 높다고 합니다. 엄기동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팀이 우수한 특수목적격을 복제해 만든 개와 일반 개의 뇌를 놓고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하는 연구를 했었는데요. 복제견은 후각 탐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