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짓기
타가 수정
교잡 수정
교미
양성 혼합
교합
교접
뉴스
"
교배
"(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인류 Y염색체 밀려난 네안데르탈인 남성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2
현생인류 남성과 네안데르탈인 여성이 35만~10만 년 전에 아프리카 밖에서 만나 이종
교배
를 했으며, 그 결과 태어난 남성 후손의 Y염색체가 어떤 이유에선가 보다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를 늘려 결국 모든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Y염색체를 대체했다고 밝혔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 ...
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2020.09.17
사람이 동물이나 식물을 육종할 때는 서로 다른 유전 정보를 가진 동물, 식물을 서로
교배
하여 유전체의 내용을 뒤섞는 꼼수가 있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정상적으로는 다른 바이러스간의 유전 정보의 교환이 쉽게 일어나지는 않는다. 서로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가 한 세포에 감염되는 희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쓰면 같은 품종의 접수라도 크기가 90%까지 자라 과수원용으로 맞다. 대목만 잘 고르면
교배
를 통해 게놈을 뒤섞지 않고도 바라는 특성을 지니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실 대목(臺木)이라는 한자어는 접붙이기가 목본식물에서만 가능하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어 다소 부적절한 용어다. ... ...
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09.03
정도)과 유전적 다양성 등을 확인했다. 그 결과 털코뿔소는 멸종되기 전까지 근친
교배
가 없었고 유전적 다양성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당 기간 개체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빠른 시간에 개체 수가 감소하며 멸종됐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유전체에서는 피부 온도 수용체와 관련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완성단계라고 하니 지금쯤은 널리 보급돼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
교배
(back cross)는 반복
교배
를 통해 외래 품종의 유용한 형질만 재배 품종에 도입하는 전통적인 육종법이다. ○하루에 25㎝ 자라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서아프리카의 만성 침수 지역에서는 줄기가 길게 자라는 심수 벼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속이 빨간 수박(wfwfbb)을
교배
하면 1세대는 모두 속이 흰 수박(WfwfBb)이 나온다. 1세대끼리
교배
해 얻은 2세대는 흰색(Wf---)과 노란색(wfwfB-), 빨간색(wfwfbb)이 12:3:1로 나온다. 이는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두 가상 유전자(Wf와 B)가 상위성 효과(epistatic effect)로 상호작용한 결과다. 최근 연구에 ... ...
[애니멀리포트]호랑이를 길들이지 못하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20.06.27
비슷하고 염색체 수가 38개로 같아 이종간에도
교배
가 가능하다. 호랑이와 사자를 이종
교배
해 탄생한 라이거, 타이언 등이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이런 잡종은 대부분 생식 능력이 없으며 수명이 길지 않다. 호랑이가 공격하진 않을까 타이거 킹에서 호랑이를 반려견처럼 다루는 모습을 보면 ... ...
[표지로 읽는 과학]카나리아 암수 깃털색 차이를 만든 단 하나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수컷은 확실한 붉은 색을 보이고, 암컷은 색이 거의 나타나지 않도록 조절했다. 이후
교배
한 카나리아를 유전자 분석해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폈다. 색깔이 뚜렷한 카나리아는 BCO2 유전자 발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BCO2는 새의 깃털 속 카르테노이드라는 색소 성분을 분해하는 역할을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사피엔스가 6만 년 전에 소수지만 이미 유라시아에 점차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종
교배
는 5만 년 전부터 증가해 4만 2000년 전에 크게 치솟고 뒤이어 줄어들어 멸종에 이른다. 내 모델에 따르면 두 인류의 공존 기간은 늘어나며, 이는 언급한 연구와 일치한다.” Q. 당신의 인류확산모델2는 ... ...
64M D램·삼보PC·전전자교환기 '국가중요자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30
쌀 자급을 달성했다. 이번에는 허 박사의 실험노트인 연구수첩 4권과 육종실험 인공
교배
도구, 통일벼 건조 표본, 보고서와 논문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호왕 박사가 1969년부터 해온 유행성출혈열 연구 자료와 도구도 포함됐다. 이 박사는 미국국립보건원(NIH)을 설득해 지원을 받고 군사지역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