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짓기
타가 수정
교잡 수정
교미
양성 혼합
교합
교접
뉴스
"
교배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니멀리포트]개의 초롱초롱한 눈빛은 인간과 소통 위한 진화의 결과
과학동아
l
2019.09.21
상대적으로 적은 수가 태어나고, 계속해서 갈색 품종을 유지하기 위해 좁은 범위에서
교배
가 이뤄진다. 그렇다고 털 색깔을 결정하는 요인이 유전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끔 종에 상관없이 흰 양말을 신은 듯 발끝이 하얀 개가 있다. 이는 배아 발생 과정에서 멜라닌 세포가 신체 말단까지 도달하지 ... ...
멸종 데니소바인에게서 받은 유전자가 면역력 강화
연합뉴스
l
2019.09.20
나와 화석 인류인 데니소바인들과 통혼했다는 것은 기정사실이 돼 있다. 이런 이종
교배
의 결과는 현대인의 유전자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이 중에는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하는 유전자도 포함돼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가반의학연구소(GIMR)에 따르면 이 연구소의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다윈이 살던 빅토리아 여왕 시대 영국에서는 자신만의 비둘기를
교배
해 기르는 것이 유행이었다. 그 후 다윈은 “인간이 체계적인 선택과 무의식적인 선택의 방법을 통해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실제로도 그랬다면, 하물며 자연이 그리하지 못할 이유가 어디 ... ...
다운증후군 지적 장애 유발하는 유전적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회복되는 것을 보였다. 연구팀은 DSCR1 유전자가 1.5배인 쥐와 DSCR1 유전자만 제거한 쥐를
교배
해 다른 유전자는 모두 같고 DSCR1 유전자만 정상 수치로 복원한 쥐를 만들었다. 다운증후군 모델 쥐는 성체 신경발생으로 만들어진 세포수가 정상 쥐의 절반 수준이었으나 복원된 쥐는 정상 수준을 회복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이 만든 잡종으로 산호 멸종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과학이 단기간에 개입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큰 것이다. 이에 반오펜 교수는 “혼합종
교배
를 통해 세계가 기후변화를 제어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을 벌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 정부는 이달 초 연구팀이 바다에 혼합종을 푸는 것을 허용했다. 연구팀은 혼합종 산호초를 그레이프 베리어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씁쓸한 맛을 내고, 어떤 균주는 쓴맛이 약하고 단맛을 강하게 낸다. 연구팀은 균주끼리
교배
해 새로운 잡종균주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발효시키지 않은 생 카카오빈에 특정 효모만 주입해 발효시키면 원하는 풍미를 가진 초콜릿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큼한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두고 분화했다).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
도 가능하다. 공통조상에서 분화된 호랑이 | 스티븐 오브라이언 전(前) 미국 국립암연구소 게놈다양성연구소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설표범과 호랑이 아종 6종의 상염색체를 분석해 계보를 그렸다. 오늘날 전 ... ...
[2019 과학 전망]기해년 덮친 돼지전염병,GM 모기 날아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퇴치를 위해 처음으로 유전자 변형 모기가 풀린다. 유전자 변형 모기와 자연 모기와의
교배
를 통해 자연 모기에게 기생충을 없애는 유전자를 전달하는 ‘유전자 드라이브’ 전략의 일환이다. 비영리협회 ‘타깃 말라리아’가 주도하고 있는 이 연구는 1만 마리의 유전적으로 살균된 수컷 모기가 ... ...
식량자원부터 장기이식 연구까지...과학자는 돼지를 사랑해~
과학동아
l
2018.12.28
외래종인 두록 종을 국내 환경에 맞도록 개량한 ‘축진두록’과 재래돼지를
교배
해 전체 유전자의 37.5%는 재래돼지, 나머지 62.5%는 축진두록의 것으로 구성된 개량돼지를 2015년 개발했다. 균일한 크기의 우수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3세대를 더 거쳐 최종적으로 ‘우리흑돈’이라는 개량돼지를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알아냈다. 지금은 유라시아인이라면 누구든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를 갖고 있다. 이 이종
교배
에서 호모 사피엔스에게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같은 바이러스가 전달됐다. 하지만 이 병을 이겨내는 저항력도 함께 같이 줬다. 시몬 길로이 제공 ⑤ 식물은 가만히 서있는 것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