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패치로 만들기 때문에 사용도 간편하다. 현재 전기가오리로부터 아세틸콜린분해효소를
분리
정제해 동물실험을 마치고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패치에 들어가는 약물은 1987년 미국이 개발한 MARK-1 주사형 해독제와 비슷하다. MARK-1은 아트로핀과 다이제팜을 주사기 안에 함께 넣었는데, 따로 넣었을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광명성3호의 추진체 예상 낙하 지점]로켓 탄두에서 위성을
분리
하는 데 필요한 페어링과 발사할 위성 대신 폭약을 탑재하면 장거리 미사일로 사용할 수 있다. 3월 16일 빅토리아 눌런드 미 국무 대변인은 “유엔안보리결의안 1718호와 1874호를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라며 ... ...
과학에 빠진 카카오, 초콜릿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갈면 ‘카카오 매스’라고 부르는 가루와, ‘카카오 버터’라고 부르는 지방 성분이
분리
돼요. 그 중 카카오 버터는 온도에 민감해서 28~30℃만 돼도 녹기시작해요. 그래서 공장에서 만든 초콜릿에는 카카오 버터보다 쉽게 녹지 않는 ‘*식물성팜유’를 많이 쓰지요. 하지만 고급 초콜릿일수록 카카오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감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판매가 금지됐다. 최근 킹코브라 뱀독에서
분리
한 하날제식은 부작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진통제로 모르핀보다 효과가 2700배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뱀독은 심장질환, 혈관질환, 통증 및 암 등 여러 질병에 새로운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물질이다.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위해 주변에 커다란 돌을 놓아 고정시키기도 한다. 물에 젖으면 단단하게 굳는 ‘수중불
분리
성 콘크리트’를 잔뜩 쌓아 케이블 주변을 마치 ‘요새’처럼 보호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최 팀장은 “풍력발전기가 해안에서 약 2~5km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생산한 전기를 바로 가정에서 쓸 수 있게 ... ...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정도로 지독한 냄새가 난다.그는 이 체취들을 분석해 사람마다 지닌 고유한 냄새를
분리
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지문이나 홍채보다 훨씬 정확한 신원확인 보안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또 냄새의 성분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면 냄새만으로 어떤 병에 걸렸는지도 알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몰려있었다. 위염에 걸린 것이다. 더 확실히 하기 위해 그는 시료에서 얻은 균을
분리
해 배지에서 배양했다. 열흘 전 자신이 삼킨 것과 같은 균이었다. 마셜은 이 공로로 200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또 이 균은 위에서 생존하는 유일한 균으로 기록됐다.거미도 오줌은 역겨워실험을 위해 어느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중 배반포라고 부르는 초기 발생 단계의 배아 내부에 있는 안쪽 세포 덩어리(ICM)를
분리
해서 미분화된 상태로 배양함으로써 생쥐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 이 세포는 체외에서 배양(증식)이 가능하며 외부 조건에 따라 생쥐의 몸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되는 전분화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 ...
Part4. 사체는 내 사랑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연구실로 가져온다. 하지만 집채만 한 큰 고래라면 현장에서 내장을 일일이 해부해
분리
해야 한다.실제로 대왕고래, 향유고래 등 길이가 10m를 훌쩍 넘는 고래들은 피부를 절개한 후 사체 속으로 들어가 작업을 해야 한다. 작업하는 동안 피가 무릎까지 차오른다. 피부와 머리카락은 고래 기름으로 ... ...
다이어트 호르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리신은 백색지방을 갈색지방으로 바꾼다. 스피겔만 교수팀이 사람의 이리신을
분리
해 뚱뚱한 쥐에게 투여하자 쥐의 체중이 줄어들었다. 사람과쥐의 이리신은 유전자 염기서열도 같기 때문에, 이 호르몬은 비만치료약으로 개발하기도 쉽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1월26일자에 실렸다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