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로켓박사 '대충쏴도 나르노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나르노프 박사는 435년 뒤인 1964년 미국으로 향했다. 새턴은 폰 브라운 박사가 설계한
분리
형 로켓으로, 미국의 우주개발 계획을 이루게 한 주인공이다. 2단과 3단로켓이 있으며, 100톤이 넘는 우주선들을 우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알고 보니 업새블라는 역사적인 유명 로켓을 새턴에 실어 우주에 ... ...
중국, 우주까지 차지하나 -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성공한 세 번째 나라가 탄생한 순간이다. 둘은 12일 동안 도킹한 상태로 궤도를 돈 뒤
분리
됐다. 선저우 8호의 재진입 캡슐은 17일 지구에 돌아왔고 톈공은 내년까지 계속 궤도를 유지한다.이번 도킹은 일종의 연습이다. 선저우 호의 진짜 임무는 사람을 태운 상태에서 이뤄질 도킹이다. 내년에 발사될 ... ...
아기와 생쥐, 같은 걸음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신경계의 메커니즘이 같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인간과 다른 동물들이
분리
되기 전 같은 조상의 신경계 네트워크에서 여러 갈래로 진화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신경계 네트워크는 전기회로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다. 신경세포인 뉴런들은 거미줄처럼 연결돼 있어서 서로 전기신호를 ... ...
뉴욕보다 넓은 남극 빙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NASA의 과학자들은 남극 대륙의 유빙 중 하나인 파인 아일랜드 빙하에서 거대한 빙산이
분리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빙산의 평면적은 무려 880km2에 달할것으로 추정된다. 뉴욕보다 넓다.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학년의 교과 과정을 잘 기억하지 못해요. 교과서나 일반 문제집은 과정이 학년에 따라
분리
돼 있어서 단원의 흐름을 한 번에 파악하기도 불편하죠. 저희 팀은 이런 기존 수학책의 단점을 보완 했어요. 책에 반드시 흐름이 담겨 있길 바라면서요.”“학교를 떠나면서 후배들에게 뜻깊은 선물을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한다. 누구나 페이스북에 가입하면 이 실험에 참여할 수 있다.페이스북으로 여섯 단계
분리
실험에 참여하는 방법 ❶ 인터넷으로 페이스북에 가입된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smallworld.sandbox.yahoo.com에 접속한다.❷ 화면에 메시지를 보낼 목표 인물을 보여 준다. 기자가 로그인하고 실험을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한다.애벌레의 탈피나 변태의 과정을 제대로 몰랐던 옛날에는 애벌레를 육체로부터
분리
된 유령, 망령이나 도깨비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신비한데다 그들이 어떻게 변할지 확신하지 못했던 애벌레는 기묘한 자연 현상이었고 곤충의 진짜 모습을 감추는 가면이었다.애벌레는 육상 생태계의 먹이사슬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살다가 지금의 개가 됐다는 의견이 많지만, 유전자로 진화계통수를 분석해 보면 두 종이
분리
된 때는 13만 5000년 전이다. 현생 인류가 아직 아프리카와 중동 사이에서 다른 대륙으로 나갈까 말까 꾸물대고 있던 때다. 현생인류가 개를 집안에서 키우기 시작했다는 고고학적 증거는 약 3만 년에서 700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빼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화석연료를 가스 상태로 만들면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분리
되는데, 이산화탄소는 잡고 수소만 에너지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화석연료를 가스로 만드는 과정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순수한 산소로만 연소 시켜라!99% 이상의 산소만 이용해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르다. 합금에 들어가는 각 성분의 양을 정확하게 맞춰도 밀도 차이 때문에 재료는
분리
된다. 그대로 합금을 만들면 부분마다 단단한 정도가 다르고 색도 얼룩덜룩해진다. 연구팀은 또 다른 방법을 생각해야 했다. 시행착오 끝에 생각한 방법은 ‘고주파 유도 기술’. 합금을 만드는 도가니 주변에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