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열을 가하면 이산화탄소와
분리
된다. 이산화탄소는 따로 모아 액체로 만든 뒤 저장하고,
분리
된 흡수제는 다시 첫 번째 통으로 보내 재활용한다.이 기술이 완성되면 큰 파급력이 예상된다. 윤 박사는 “앞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기술의 시장 규모가 커질 것이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크다”며 “이 ... ...
PART 1 수학퍼즐이 뭐기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크기 순서대로 배열하는 하노이의 탑 등도 이동퍼즐이지.2 조립퍼즐 조립퍼즐은
분리
된 퍼즐 조각을 특정한 모양이 되게 배치하는 거야. 정사각형 5개로 만들어진 서로 다른 12가지 알파벳 모양의 퍼즐조각으로 다양한 도형을 만드는 펜토미노, 7가지 도형으로 만드는 칠교놀이, 7개의 서로 다른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늘린다. 다 키운 세포를 모을 때는 원심
분리
기를 이용한다. 밀도차이로 배양액과 세포가
분리
되기 때문에 쉽게 세포만 얻을 수 있다. 이제 세포를 터뜨리는 단계. 기자가 실험대에 앉자 박근향 연구원은 질소가스통의 밸브를 열었다.“질소가스의 압력으로 세포를 깰 겁니다. 가스의 압력은 2.1bar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부분과 공진해 사용상 문제가 생기면 진동패드와 같은 완충제를 이용해 기계와 건물을
분리
해 준다.[대만에 있는 101층짜리 초고층건물 타이베이101. 타이베이101의 90층 부근에는 강철구 모양의 동조질량감쇠기가 있다.]공진을 이용할 수는 없을까?공진이 다른 분야에서는 유용하게 쓰일 때가 많다.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지구의 대기가 지금보다 훨씬 더 멀리까지 확장돼 있었어야만 한다. 이처럼 쌍둥이설,
분리
설 등은 모두 오류가 있어 현재로서는 대충돌설이 가장 유력하게 인정받고 있다.[달의 앞면(왼쪽)과 뒷면(오른쪽)]한편 대충돌 때 발생한 충돌에너지가 너무 커서 지구뿐만 아니라 달 전체에 마그마가 마치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찾아 학점을 올리는 꼼수를 부릴 수 없죠.”12과목의 법칙에는 전공으로 학생들을
분리
시키지 않겠다는 정책적 의지도 담겨 있다.“나중에라도 아이들이 전공별로 나뉘어 만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다 같이 GIST라는 이름으로 만나야죠. 학부는 열린 전공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전기전산 학생이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꺼내 그 자체를 페트리접시에서 4일간 배양했다. 그리고 충분히 숫자가 늘어난 ICM을
분리
해 지지세포(섬유세포) 위에 놓아주고 태아 송아지와 갓 태어난 송아지의 혈장이 포함된 배양액을 공급했다. 지지세포나 배양액은 ICM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면서 증식을 돕는 역할을 한다.다행히 세포는 ... ...
일반전형 논술, 추론과 창의력 중요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는 것으로서, 두 전형을
분리
해놓은 의도와 잘 맞지 않았다. 또한 2009학년도까지 실시된 논술고사와 2010학년도에 실시된 논술고사 과학문항은 기존 논술고사의 통합적 사고력을 측정하려는 시험이 아닌, 구술면접형 논술고사에 가까웠다. 이러한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만들까. 환자의 골반뼈에 골수흡입침을 꽂아 골수를 5~10mL 정도 채취한 다음 단핵세포만
분리
한다. 단핵세포를 37℃ 세포배양기에서 5~7일간 배양하면 중간엽줄기세포가 배양용기에 붙으면서 무리(1000만~1억 개)를 형성한다. 이때 중간엽줄기세포를 환자의 체중에 비례하는 양만큼 회수해 주사기에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리튬을 빨아들인 흡착제를 꺼내 육지로 가져온 뒤 미리 준비한 산성 용액에 넣어 리튬을
분리
한다. 이후 소금 호숫물에 쓴 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분리
, 정제과정을 거치면 순도 높은 리튬을 얻을 수 있다. 사용한 흡착제는 다시 바다에 가져가서 재활용한다. 반영구적인 자원 생산이 가능한 셈이다.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