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서로 얽혀 있는 상태의 양자에 ‘순간적으로’ 전달된다. 고전적 정보와 양자적 정보가 분리된 것이다. 그리고 보내는 쪽에서 고전적 정보를 마저 전송하면 먼저 받은 양자적 정보와 합쳐서 원래의 양자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이것이 원거리 양자 전송이다. 즉 서로 떨어져 있는 양자 A, A'가 있다. ... ...
- Part 1. 조미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라는 상표를 붙여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것을 물에 녹이면 글루타민산염과 소듐염으로 분리된다. 다시마 역시 물에 우리면 글루타민산염이 나온다. 소듐을 빼고는 똑같은 성분이다. 그 이후 이노신산(IMP)과 구아닐산(GMP) 같은 다른 우마미 성분도 발견됐다.“물론 너무 많이 쓰면 안 좋겠지.”기사를 ...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있어서 외부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한다. 세포막은 물과 잘 결합하는 친수성 층과 물과 분리되는 소수성 층이 겹겹으로 쌓여 있어 외부자극 화학 물질이 통과하기 쉽지 않다.하지만 구아닌 수용체는 이런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는 특이한 분자구조를 갖고 있다. 마치 세포막에 열쇠구멍이 나 있는 것과 ...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어떻게 된 거지?’신비의 숲에서 정신을 잃은 앨리스는 영문도 모른 채 낯선 공간에서 눈을 떴다.“착시 미술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당신은 영원히 이 미술관을 ... 공간으로 만드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그림에는 일부러 원색을 이용한다. 확실한 분리감을 주기 위해서다 ...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2단 엔진의 연소가 끝나면서 시험 위성이 목표궤도에 진입한다. 운명의 540초에는 위성이 분리되며 나로호 발사 성공의 순간을 맞게 된다.한국형 발사체 초석 다져지나나로호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위한 첫 단계다. 1, 2차 실패 후 1단 액체엔진 발사체를 러시아에서 들여오는 동안 기술 이전이 전혀 ...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만들어야 한다. 가속기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려면 액체 상태의 납-비스무스와 분리돼야 하기 때문이다.또한, 액체 납-비스무스는 불투명해서 원자로 내부의 상태를 관찰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초음파로 내부 상태를 관찰하는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소듐냉각고속로용으로는 이런 장치가 이미 ... ...
- 무한 변신의 나라, 키자니아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때 나오는 ‘매립가스’로 전기를 만들자.쓰레기로 전기 만드는 법➊ 우선 쓰레기를 분리수거해요. 재활용할 수 있는 것, 불에 태울 수 있는 것, 재활용도 못하고 불에도 안 타는것 이렇게 세 종류로요.➋ 이 중 재활용을 못하고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는 땅에 묻습니다. 땅에 사는 미생물이 꼬물꼬물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것은 아니다. 적긴 하지만 암흑물질 상호간의 충돌이 있을 수 있고, 이 때문에 은하에서 분리된 암흑물질이 있다는 뜻이다.이런 해석은 아직 완전하지 않다. 왜 총알 모양의 은하단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아벨 520 은하단에서만 관찰되는지 석연치가 않다. 혹시 이 두 가지 충돌에 개입한 암흑물질이 ... ...
-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건지 말 건지만 결정하면 된다. 이제는 기술이 인간을 알아야 하는 시대다. 기술과 분리됐던 철학, 문학, 심리학, 사회학, 윤리학과 같은 인문학이 다시 기술의 시야에 들어오고 있다. 이런 학문들은 사람에 대한 시선을 제공한다. 기술은 스스로를 점검하고 인문학이 던지는 질문에 응답해야 한다 ...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부유성 미생물은 가만 놓아두면 맑은 물과 녹색 남조류 뭉치로 선명히 나뉜다. 이 말은 분리하기 쉽다는 뜻이다. 물 위에 뜬 물질을 거르는 차단막으로도 상당수를 제거할 수 있고, 나머지도 기존 정수처리로도 충분히 없앨 수 있다. 권지향 건국대 환경공학과 교수도 “미생물은 입자상 물질(알갱이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