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지진을 일으키는 일본열도와 필리핀판의 경계부까지 들어가 지진을 예측할 실시간
관측
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현재까지 심부시추를 하고 있다. 동해에도 시추를 10개 이상 했다.최근에는 거대한 지진이 보름달이나 초승달이 뜬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는 일본 도쿄대 연구팀의 ... ...
[과학뉴스] 제임스 웹, 우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망원경이 필요해요. 과학자들은 1990년부터 지금까지 허블 우주망원경을 통해 우주를
관측
하고 있지요.지난 2002년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은 힘을 합쳐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거대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을 제작하고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쓰인다. 이를 이용해 중력파 신호만을 뽑아내기 위한 ‘필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관측
한 신호를 필터로 걸러 우리가 원하는 중력파 신호가 있는지 없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필터를 통과한 신호에 중력파가 있다면 흰색 파형과 같은 중력파 파형을 뽑아낼 수 있다.우리나라의 ... ...
[과학뉴스] 천문연, 한국우주전파
관측
망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별이 탄생할 때처럼 주변의 온도와 밀도가 매우 높을 때만 나온다.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
한 원시 별 ‘G19.61-0.23’과 ‘G75.78+0.34’는 일산화규소 메이저를 방출했다. 조세형 천문연 연구위원은 “이번 발견으로 거대한 별의 탄생과 활동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단풍이 물드는 가을이다. 아직까지 푸른 빛을 간직하고 있는 나무도 곧 누구는 붉은 빛으로, 누구는 노란 빛으로 물들 터다.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 ...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단풍
관측
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위치였습니다.48분 만에 11배 강한 지진이!우리나라에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지만
관측
사상 규모가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구텐베르크와 함께 만든 ‘리히터 규모’에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않을까? 빅뱅 이론에 따르면 그런 빛이 있다. 이 빛의 이름은 ‘우주배경복사’. 이를
관측
하기 위해 역사적인 인공위성 ‘코비’가 1989년에 우주로 올라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했다.초기우주의 문이라고도 할수 있는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우주로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태어나기 최소 15억 년 전에 태어났고, 3분의 1은 지구가 태어난 뒤 만들어졌다. 우리가
관측
할 수 있는 우주 전체로는 대략 14조 개의 골디락스 행성이 있다(위 왼쪽 그래프). 절반은 지구가 태어나기 최소 50억 년 전에 태어났고, 약 8분의 1은 지구 탄생 이후에 만들어졌다. 또, 우리 은하 같은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로 이뤄져 있어 풍화나 침식에 취약하다.이날 조사에서도 독도 전체에 미세한 침식이
관측
됐다. 한 측정 지점에서는 3개월 전 마지막으로 측정했을 때보다 흙의 두께가 1cm나 줄었다. 놀란 기자에게 송 책임연구원은 “독도는 워낙 바람이 세고 경사가 심하다”며 “크게 걱정할 수준은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시간 동안 촬영해 한 장 으로 합성한 것이다.아쉽게도 이번 별똥별 쇼는 도심에서는 잘
관측
되지 않았다. 심각한 빛 공해 때문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자연 상태의 밤하늘보다 10% 이상 밝은 상태를 빛 공해로 규정하는데, 한국은 전체의 89%가 빛 공해 지역인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사이언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